카카오, 뉴스 댓글 개편했더니... “악플 신고 늘고, 욕설은 줄고”

카카오, 뉴스 댓글 개편했더니... “악플 신고 늘고, 욕설은 줄고”

임효진 기자
입력 2020-06-18 14:42
업데이트 2020-06-18 14: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카오가 뉴스 서비스 댓글 제재 강화와 운영 정책 개편 후 악성 댓글 관련 신고와 조치는 늘고, 욕설과 비속어는 줄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 2월 26일 포털 다음과 카카오톡 #탭의 뉴스 댓글 서비스에서 댓글 신고 기준에 ‘차별·혐오’ 항목을 추가하고, ‘덮어두기’, ‘접기’ 등 댓글 노출 관리 기능을 신설했다.

개편 후 3월 한 달간 댓글 신고 건수는 이전보다 약 2배, 악성 댓글 삭제 건수는 65% 증가했다. 총선이 끝난 5월에는 신고 건수 14%, 삭제 건수는 7% 각각 늘었다.

카카오는 “욕설·비속어가 포함돼 있지 않더라도 불쾌감을 주는 댓글이 이용자들의 자발적 참여와 선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조치됨으로써 댓글 환경이 청정해지고 있다는 신호”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성 댓글 신고 및 조치 건수도 감소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욕설과 비속어가 섞인 댓글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카카오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댓글의 욕설·비속어를 음표 모양으로 바꾸는 ‘욕설 음표 치환 기능’을 운영하고 있는데, 댓글 개편 후 음표 치환된 댓글이 2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생긴 기능 중에는 댓글을 보이지 않게 하는 ‘덮어두기’가 가장 많이 쓰였으며, 댓글 영역 자체를 안 보이게 하는 ‘접기’, 특정 댓글 작성자를 보이지 않게 하는 ‘이 사용자의 댓글 활동 숨기기’ 도 애용됐다고 카카오는 전했다.

‘이 사용자의 댓글 활동 숨기기’ 기능은 설정한 이용자의 91%가 해제하지 않고 유지했다.
카카오 여민수(왼쪽), 조수용 공동대표. 사진제공=카카오
카카오 여민수(왼쪽), 조수용 공동대표. 사진제공=카카오
여민수·조수용 공동대표는 “이번 개편으로 플랫폼 사업자와 이용자들의 선한 의지로 더 나은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며 “지속적인 노력과 서비스 개편으로 기업의 디지털 책임(CDR)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