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주년 맞은 수요시위…“일본 정부, 성노예 문제 공식사죄해야”

27주년 맞은 수요시위…“일본 정부, 성노예 문제 공식사죄해야”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1-09 14:29
수정 2019-01-09 14: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7주년 맞은 수요집회 현장 찾은 아베?’
‘27주년 맞은 수요집회 현장 찾은 아베?’ 9일 오후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제1369차 수요집회에서 아베 신조일본 총리 가면을 쓴 한 참가자가 손팻말을 들고 있다. 지난 1992년 1월 8일 시작된 수요 시위는 이날 27주년을 맞이했다. 2019.1.9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시위 27주년을 맞아 시민단체들이 일본 정부에 공식사죄와 법적 배상을 거듭 촉구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는 9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제1369차 수요시위를 열고 수요시위 27주년을 기념했다.

수요시위는 1992년 1월 8일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시작됐다.

정의기억연대는 이날 성명서에서 “긴 시간 동안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들과 시민들은 일본 정부에 전쟁 범죄 인정, 진상규명, 공식사죄, 법적 배상, 전범자 처벌, 역사 교과서에 기록, 추모비와 사료관 건립 등 일곱 가지 사항을 요구해왔다”고 소개했다.

이어 “수요시위 초창기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조차 부끄러운 일이라는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인 시선이 가득 차 있었다”며 “시간이 흘러 이곳 평화로에는 매주 수요일마다 점점 더 많은 사람이 함께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전쟁을 겪지 않은 미래 세대들과 피해생존자들이 직접 만나 평화의 소중함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어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를 비판했다.

정의기억연대는 “아직도 일본 정부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의 범죄사실을 인정하지 않았고, 사죄하지도 않고 있다”며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책임지는 자세로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공식사죄와 배상을 통한 법적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수요시위에는 투병 중인 김복동 할머니 등 피해자들은 건강 문제로 참석하지 못했다. 지난달 이귀녀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면서 정부에 등록된 생존 위안부 피해자는 25명만 남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