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본 10명 중 7명, 장애에 대해 긍정적 변화”

“패럴림픽 본 10명 중 7명, 장애에 대해 긍정적 변화”

이혜리 기자
입력 2018-03-06 22:32
업데이트 2018-03-07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U대표부 장애인 인권 세미나

“올림픽과 같은 장소, 관용 의미
부정적 고정관념 개선 기회로”

“패럴림픽이 올림픽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미하엘 라이터러 주한 유럽연합 대사는 6일 주한 유럽연합 대표부 주최로 열린 ‘장애인 인권 옹호 미디어 세미나’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대회를 앞두고 차별과 사회적 배제, 부정적인 고정관념과 같은 이슈에 대해 한국 언론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라이터러 대사는 환영사에서 “평창올림픽이 평화올림픽으로 불린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면서 “이번 패럴림픽에선 ’협력’과 ‘인정’이란 가치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노력을 모두가 인식하는 기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 참여한 해외 연사들은 패럴림픽과 장애인의 권리에 대해 각국의 관점에서 견해를 밝혔다. 조엘 이보네 유럽연합 대표부 수석 정무관은 “현재 유럽연합의 5억여명 인구 가운데 8000만명이 장애를 가지고 있다”면서 “장애인들이 사회 모든 분야에 기여하는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욤 고베르 벨기에 패럴림픽위원회 마케팅 매니저는 “1988년 서울올림픽 때부터 올림픽과 장애인 올림픽이 같은 장소에서 개최되면서 일원화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벨기에에서 패럴림픽을 시청한 10명 가운데 7명이 패럴림픽을 보고 나서 장애에 대한 시각이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면서 “사회적 포용과 발전의 영감이 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연사로 참여한 김미연 장애여성문화공동체대표는 “국내 장애인 단체에서는 북한 장애인 선수도 참여하는 이번 평화 패럴림픽을 크게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혜리 기자 hyerily@seoul.co.kr
2018-03-07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