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수색팀 이동로…26m 철제 ‘워킹타워’ 모습 드러내

세월호 수색팀 이동로…26m 철제 ‘워킹타워’ 모습 드러내

입력 2017-04-16 15:54
업데이트 2017-04-16 16: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부 수색 이동·안전 확보 위해 선수·선미에 1대씩 설치

세월호 참사 3주기를 맞은 16일 선체가 거치된 목포신항에 높이 26m의 거대한 철제 구조물이 모습을 드러냈다.
워킹타워 설치된 세월호
워킹타워 설치된 세월호 16일 오후 목포신항에 거치된 세월호 위에 워킹타워가 설치되어 있다. 워킹타워는 수색자들이 붙잡거나 디딜 수 있도록 돕는 높이 26m 계단형 구조물이다.
연합뉴스
해양수산부와 선체 정리업체 코리아 쌀베지 등에 따르면 이 구조물은 세월호 수색 작업에 쓰일 ‘워킹타워’다.

계단형으로 돼 있어 작업자들이 사다리차 등에 의지하지 않고도 수시로 세월호 상부를 드나들 수 있게 하는 핵심 장비다.

철제빔을 세운 뒤 지그재그 모양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작업자들이 디딜 수 있는 발판, 추락 방지용 난간 등을 갖췄다.

작업자들은 로프나 와이어를 작업차에 연결하고 사다리나 발판을 이용해 위아래로 오가면서 수색 작업을 펼치게 된다.

추락 위험이 있는 선체 내부 구조물을 제거하는 작업에도 활용된다.

현재 왼편으로 누운 세월호는 수직 높이만 22m로, 아파트 9층 높이에 달하고 내부가 어지러워 이동을 위해서는 워킹타워가 필수적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현재 워킹타워 2대가 세월호 선수와 선미에 설치돼 막바지 고정 작업 중”이라며 “이날 중으로 설치를 마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워킹타워는 고층 작업차와 연결되고, 수색팀은 이를 이용해 세월호 우측면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워킹타워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도 한다.

기둥과 같은 폴대 사이에 연결된 줄에 작업자들의 몸을 지탱하는 줄을 연결해 추락을 방지한다.

수색팀 관계자는 “기둥마다 줄을 연결해 포토라인을 만들 듯이 폴대에 줄을 연결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며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해 놓고 우현 쪽에서 내부 상태를 점검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