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인·무자녀 가구, 미성년자녀 부부 가구 첫 추월

1인·무자녀 가구, 미성년자녀 부부 가구 첫 추월

입력 2017-01-30 22:40
업데이트 2017-01-31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권자 지형 변화… 대선 변수

1~2인 가구 60대 이상 ‘최다’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는 올해 1인 가구와 자녀가 없는 부부 가구의 유권자 수가 부부와 미성년인 자녀로 구성된 가구의 유권자 수를 처음으로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인 및 ‘무자녀’ 부부가구의 표심을 사로잡을 수 있는 정책을 내놓는 후보가 대권 경쟁에서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30일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 1028만명이었던 1인 및 부부만으로 구성된 가구의 유권자 수는 올해 18.3%가 늘어난 1216만명으로 추산됐다. 반면 5년 전 1258만명이었던 부부와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가구의 유권자 수는 6.6% 줄어든 1180만명으로 나타났다.

가구 유형상 1~2인 가구가 처음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은 2012년 대선이었지만, 자녀가 없는 1인 및 부부 가구의 유권자 수가 부부와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가구를 넘어선 것은 올해 대선이 처음이다. 2012년 당시 454만명이던 1인 가구의 유권자 수는 올해 540만명, 부부로만 구성된 가구는 574만명(287만 가구)에서 676만명(338만 가구)으로 증가했다. 반면 3인 이상의 가구 가운데 부부와 투표권이 없는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2012년 629만 가구에서 올해 590만 가구로 줄었다. 고령화가 가구의 유형별 비중에 변화를 불러오고, 이에 따라 유권자 지형도에도 변화를 불러온 셈이다.

1인 및 무자녀 부부 가구의 유권자 수 증가가 젊은 층의 지지가 높은 야당에 유리할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 가구 특성을 살펴보면 정반대였다.

부부만으로 구성된 2인 가구의 유권자 수는 ‘60대 이상’이 394만명(197만 가구)으로 무자녀 부부 가구의 58.3%를 차지했다. 50대가 160만명(80만 가구)으로 뒤를 이었고 30대 72만명(36만 가구), 40대가 48만명(24만 가구) 순이었다. 20대 무자녀 부부 가구의 유권자 수는 14만명(7만 가구)에 불과했다. 자녀를 독립시킨 50대 이상의 부부 가구가 80%를 넘는 셈이다. 또 1인 가구 가운데 ‘독거노인’인 70대 이상이 116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20대는 92만명으로 그다음이었고 30대(88만명), 50대(87만명), 40대·60대(76만명) 순이었다. 즉, 기존에 청년과 노령층에만 초점을 맞췄던 1인 가구 정책뿐 아니라 60대 이상의 2인 가구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상진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는 “1~2인 가구를 동질적 집단으로 볼 것이 아니라 다양한 내부 집단의 편차를 감안한 새로운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7-01-31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