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여객기 또 연기 나 긴급착륙

아시아나 여객기 또 연기 나 긴급착륙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10-06 14:18
업데이트 2016-10-06 14: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주일새 두건, 승객들 5시간 넘게 발묶여 애간장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화물칸에 연기가 나는 소동으로 이륙 1시간여 만에 긴급착륙했다. 이때문에 5시간 넘게 발이 묶인 승객들이 불편을 겪었다.



 6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전날 오후 9시 50분쯤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필리핀 클락으로 향하던 OZ707편 여객기가 화물칸에서 연기 감지 경보가 울리자 오후 11시쯤 제주공항에 착륙했다.

 해당 항공기 기종은 A321이며 당시 승객 119명이 타고 있었다.

 아시아나항공 측은 상공에서 소화 조치를 했고, 제주공항에 착륙한 뒤 정비사와 소방대가 합동 점검을 벌인 결과 경보장치에 오류가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연기 감지 경보가 울리면 즉각 소화 기능을 작동시킨 뒤 안전을 위해 회항하는 것이 매뉴얼 상 조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때문에 승객들은 한밤중 공항에서 5시간 넘게 대기했다가 이날 오전 4시 30분쯤 회사 측이 제공한 대체 항공기를 타고 클락으로 출발했다.

 문제는 아시아나항공 여객기의 연기 경보장치 이상이 일주일만에 또다시 발생했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달 27일(현지시각) 승객 358명을 태우고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출발해 인천으로 향하던 OZ201편(A380) 여객기가 화물칸의 연기 경보장치 오류로 이륙 3시간 만에 LA로 되돌아갔다.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부는 아시아나항공을 포함해 국내 항공사가 보유한 에어버스 기종 항공기의 경보장치 시스템을 일제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른 아시아나항공 여객기는 점검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경보장치 정비 주기를 기존 2년에서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비 주기는 기본적으로 항공기 제작사에서 정하며 항공사가 기술,인력 등 자체적인 정비 능력에 따라 조정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