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흘 단수 2만가구 피해”…애초 추정보다 4배 늘어

“나흘 단수 2만가구 피해”…애초 추정보다 4배 늘어

입력 2015-08-20 09:47
업데이트 2015-08-20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주시, 전수조사 결과 발표…새정연 “단수 직후 피해 규모 의도적 축소”

지난 1∼4일 청주에서 발생한 수돗물 단수사태 피해 가구 수가 2만가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시는 피해 배상의 전 단계로 지난 17일부터 3일간 공무원 76명을 동원, 전수 조사한 결과 주택 1만7천406가구와 상가 2천504곳 등 모두 1만9천910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파악됐다고 20일 밝혔다.

단수 사고 당시 시가 추정했던 피해 규모(5천여 가구)의 4배에 달하는 수치다.

시는 통합 정수장 도수관 연결공사 작업 지연과 도수관 이음부 파손 사고로 단수 사태가 빚어졌을 당시 비상 저수조를 갖춘 아파트를 제외한 채 피해 규모를 어림잡아 발표했다.

당시에도 아파트까지 고려하면 수돗물 공급이 끊긴 곳이 2만 가구 안팎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단수 피해 지역은 13개동에서 11개동으로 조정됐다.

애초 피해 지역으로 분류됐던 성안동과 내덕1동은 실태 조사 결과 수돗물이 나오지 않은 곳이 없어 피해 지역에서 빠졌다.

시는 용암1동과 금천동의 피해가 가장 컸다고 설명했다.

시는 피해 실태 조사 후속 조처로 다음 달 18일까지 단수 지역 주민들로부터 피해 신고를 받는다.

피해 접수 이후 시민 대표, 사업장 대표, 법률 전문가 등 20여명으로 피해배상심의위원회를 구성해 배상 방법과 범위, 대상자, 배상액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시는 이와는 별개로 교수, 전문가 등 5명으로 단수 사고 원인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지난 10일부터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시의회도 단수 사고의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오는 10월 30일까지 활동한다.

새정치민주연합 충북도당은 이날 논평을 내고 “애초 추산보다 피해 규모가 4배가량 늘어난 것은 결국 청주시가 당시 비난 여론을 잠시나마 비켜가기 위해 피해 규모를 대폭 축소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주먹구구식 행정의 결정판”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또다시 단수로 인해 시민들이 고통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하게 원인을 규명하고, 종합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