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진항 사고 여파…인천·부산항 여객운송 등 일부 차질

톈진항 사고 여파…인천·부산항 여객운송 등 일부 차질

입력 2015-08-14 14:11
업데이트 2015-08-14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여객선 운항 지연, 화물 운송 제한적인 피해 예상

지난 12일 밤에 발생한 중국 톈진(天津)시 빈하이(濱海)신구 탕구(塘沽)항 폭발사고 여파로 국내 주요 항구의 여객과 화물 운송이 일부 차질을 빚었다.

그러나 피해 규모가 그다지 크지는 않을 것으로 각 항만 및 해운사들은 전망했다.

14일 각 항만과 해운업계에 따르면 진천항운 소속 인천∼톈진 국제여객선 천인호(2만6천t급)는 당초 13일 오전 11시 톈진항을 출항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전날 밤 발생한 사고로 현지 시내 교통이 극심한 혼잡을 빚으면서 터미널에 늦게 도착하는 승객이 속출하자 출항 시각을 원래 일정보다 1시간 30분 늦췄다.

천인호는 승객 122명, 화물 112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를 싣고 당초 계획보다 1시간 늦은 14일 오후 3시 인천항에 입항할 예정이다.

진천항운은 폭발장소가 국제여객선 접안부두와는 거리가 떨어져 있어 승객·화물 피해는 없다고 전했다.

인천∼톈진 항로는 톈진을 잇는 국내 유일의 국제여객선 항로로, 주 2회 왕복운항하고 있다. 운항시간은 편도 25시간이다.

올해 상반기 여객은 3만1천95명, 화물은 1만1천246TEU로 인천∼중국 10개 국제여객선 항로 중 여객 6위, 화물 9위 규모다.

진천항운 관계자는 “폭발사고 여파로 입출항이 다소 지연됐지만 오늘(14일) 오후 인천항 출항 일정부터는 정상적으로 운항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 항구의 컨테이너선·화물선 운항도 다소 차질이 예상되지만, 피해 규모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인천항 측은 인천과 톈진을 연결하는 5개 안팎의 컨테이너선 노선은 두 항만만 오가는 것이 아니라 중국 다른 항만들을 거쳐 오는 항로여서 인천항에 미치는 여파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항 관계자는 “현재까지 톈진항 폭발로 인천항에 접수된 직접적인 피해는 없다”고 설명했다.

톈진항을 떠나 부산항으로 들어올 예정인 화물들의 도착 일시도 다소 지연될 전망이다.

폭발사고로 중국 현지 컨테이너 부두 하역 및 선적 작업이 13일부터 이날 오전까지 잠정 중단됐다가 현재 부분적으로 재개됐기 때문이다.

부산항만공사는 전체적으로 볼 때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사고 현지의 사정에 따라서는 두 항구를 오가는 선박들의 화물 선적 및 하역에 어느 정도 피해가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 동북지역 최대의 무역항으로 매년 5억4천만t의 철광석, 원유, 차량 등의 화물을 처리하는 톈진항은 부산항과 교역하는 항구 중 화물 물동량 규모가 가장 크다.

2014년 기준으로 부산항과 톈진항을 오간 화물은 모두 117만TEU이다.

부산항만공사 측은 톈진항 컨테이너 부도는 사고 지점과 6㎞가량 떨어져 있어 시설물 파손 등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

강부원 부산항만공사 마케팅팀장은 “컨테이너 부두가 100% 가동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오후부터 선박 접안도 정상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연속 자동차 수출입 처리량 전국 1위에 오른 평택항은 이번 톈진항 사고 여파가 크지 않다고 부두 운영사는 설명했다.

평택항 자동차 처리물량의 절반가량을 담당하는 평택국제자동차부두 운영사 관계자는 “연간 65만∼70만대를 처리하는데 대부분이 평택항을 경유하는 환적차량이라 별다른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경기평택항만공사는 컨테이너 물동량도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공사 관계자는 “평택항에서 운항하는 컨테이너 항로가 10개인데 이 가운데 텐진으로 가는 1개 항로가 주 2회 운항, 아직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