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연금개혁안 내놓은 안행부 일문일답

공무원 연금개혁안 내놓은 안행부 일문일답

입력 2014-10-17 00:00
업데이트 2014-10-17 1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수인상 등 사기진작책 연내 확정…고액 연금 방지”

공무원연금개혁안을 마련 중인 정부가 재직 공무원의 부담률을 인상하고 고액 연금 수령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민간 수준으로 보수를 인상하는 등 사기 진작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천지윤 안전행정부 연금복지과장은 17일 당정협의 후 브리핑을 통해 “실무직의 보수를 민간 수준으로 인상하고 승진기회를 확대하는 등 재직자 사기진작 방안을 다음 달 중 마련하고 12월에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천 과장은 이날 안행부가 새누리당에 설명한 안과 연금학회가 제시했던 안의 가장 큰 차이로 고액 연금자 방지를 위해 기여금 납부 소득 상한을 전 공무원 평균소득의 1.8배에서 1.5배로 하향한 점을 들었다.

다음은 천 과장과의 문답.

--기존 연금학회의 안과 비교했을 때 가장 강화된 부분은.

▲기본 수급구조는 같은데 기여금 납부 소득 상한을 1.8배에서 1.5배로 낮춘 게 차이가 있다. 평균 연금액인 219만원의 배(438만원) 이상을 받는 고액 연금자의 추가 연금 인상을 동결하는 부분을 검토한 것도 차이점이다.

--현재 평균의 배 이상을 받는 고액 연금자는 몇 명인가.

▲36만명 중 249명이다.

--기여금 납부 소득 상한이 1.5배가 되면 실제 수급액은 얼마나 차이가 나나.

▲그 부분은 승진 일정 등 개인 편차가 많아 전문가들도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한다. 다만 수입이 약간 줄어드는 문제는 있지만, 봉급이 많은 직원의 연금이 과거보다 많이 낮아질 것이다.

--당에서 가장 보완을 많이 요구한 부분은

▲재정 건전성 제고 등 4가지 목표에는 대체로 공감했다. 전반적으로 질의응답이 많았다. 예를 들어 퇴직금 인상과 관련해 재직자한테도 100% 다 주는 게 아니고 법 개정 이후에만 주는 것인데 그런 부분에 대해 오해가 없게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고 했다. 재정 개선 효과를 단축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향후 보전금 전망과 관련해 연금학회안과 정부안이 수조 원 차이가 나는데 이유는.

▲부담률 인상을 급하게 하면 초기 재정 효과가 크다. 학회 안대로 하면 2020년에 보전금이 3조 8천214억원인데 우리 안대로 하면 2조 6천50억원이다. 기여율을 10년에 걸쳐 천천히 올리는 걸 3년 만에 올리니 차이가 난다.

--퇴직수당 정상화의 구체적인 방안은.

▲현재 퇴직수당을 민간 퇴직금의 39% 수준으로 지급하는데 앞으로 최대한 민간 규정(퇴직 전 3개월간 평균 임금 x 근무연수)을 준용하겠다는 것이다. 법 개정 전 수당은 퇴직수당 계산식으로 산정하고 개정 후부터는 퇴직금 계산식으로 산정하겠다는 것이다. 인센티브 지급도 계속 논의 중이다.

--정부 입법으로 가나, 의원 입법으로 가나.

▲당장 결론 내기 어려운 부분이라 계속 논의하겠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