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간 학생영정…빈자리가 더 아픈 분향소

청와대 간 학생영정…빈자리가 더 아픈 분향소

입력 2014-05-09 00:00
업데이트 2014-05-09 15: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사고 24일째인 9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고 초지동 정부 공식 합동분향소는 유족들의 답답한 심정만큼이나 조용하고 무거운 공기가 내려앉았다.

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본관에 세월호 침몰 사고 유족들이 희생자들의 영정을 품고 항의방문하고 있다.  이들은 세월호 희생자수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비교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진 KBS 모 국장의 해임 등을 요구했다.  연합뉴스
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본관에 세월호 침몰 사고 유족들이 희생자들의 영정을 품고 항의방문하고 있다.
이들은 세월호 희생자수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비교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진 KBS 모 국장의 해임 등을 요구했다.
연합뉴스
전날 저녁 유족 150여명이 한차례 소동 끝에 대통령을 만나겠다며 청와대로 향한 뒤 이날 오전 11시께 안산에 남은 유족 중 50여명과 구조된 학생 가족 30여명도 동참하면서 분향소에는 어느 때보다 고요한 침묵이 흐르고 있다.

이들은 사고책임자 엄벌과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간곡한 마음을 담아 합동분향소 제단에 모셔두었던 자녀들의 영정도 함께 가져갔다.

이 때문에 합동분향소 제단 위 영정이 놓여 있어야 할 자리는 유족들 마음속에 생긴 커다란 ‘빈자리’처럼 군데군데 비어 있었다.

대신 일부 유족은 분향소에 남아 좌·우측 출구 앞에서 생존자·실종자 조기 수습과 사고 진상규명을 위해 특검과 청문회를 열자는 내용의 서명운동을 닷새째 계속했다.

또 다른 유족들은 생업 탓에 함께하지 못하는 가족들에게 현장 상황을 전달해주기도 했다.

6일간 진행됐던 유족들의 침묵시위는 상당수가 청와대 앞으로 몰려가는 바람에 이뤄지지 않았다.

유족들의 아픔과 슬픔을 함께 나누고 위로하려는 조문객들의 발길은 평일임에도 멈출 줄 몰랐다.

미처 합동분향소를 방문하지 못하는 전국 각지의 시민과 중국, 태국, 스위스, 미국 등 각국 시민이 보내온 편지와 메모도 분향소 이곳저곳을 메웠다.

정부장례지원단은 오후 1시 현재 하루 동안 2천264명의 조문객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했다. 임시·합동분향소 누적조문객은 27만5천383명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