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독일에서 배운다] “1000m 갱도서 목숨 걸고 작업… 한국 가족 위해 밤낮없이 일했죠”

[통일독일에서 배운다] “1000m 갱도서 목숨 걸고 작업… 한국 가족 위해 밤낮없이 일했죠”

입력 2014-03-26 00:00
업데이트 2014-03-26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독 광부 출신 이병종씨

“돈을 벌기 위해 독일에 갔지만 아직도 형편이 되지 않아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광부와 간호사가 많습니다. 국가가 좀 더 관심을 가져 주었으면 합니다.”
이미지 확대
이병종 씨
이병종 씨


경남 남해 독일마을에 살고 있는 파독 광부 출신 이병종(69)씨는 25일 “1970년 4월 서울신문에 난 독일 광부 모집 공고를 보고 지원해 같은 해 7월 난생처음 비행기를 타고 독일로 갔다”며 젊은 날의 기억을 되살렸다. 이씨는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월급 8000원을 받는 체신공무원으로 일하다 독일에 광부로 가면 한 달에 5만원을 저금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지원했다”고 광부가 된 동기를 설명했다. “우리나라가 가난했던 시절이라 일자리가 없어 160명을 모집하는 광부에 전국에서 4000여명이 지원을 했다. 간호사 모집도 비슷하게 경쟁이 치열했다”며 당시의 상황을 설명했다.

이씨는 “30㎏짜리 모래주머니를 들고 달리는 체력시험을 비롯해 치열한 경쟁을 뚫고 독일 파견 광부로 선발돼 독일로 가 계약 기간 3년 동안 탄광에서 기계공으로 일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독일로 간 광부와 간호사들은 밤낮없이 일하고 받은 돈을 한국으로 송금했다”고 회상했다. 또 “광부들은 수직으로 1000m가 넘는 지하 갱도에서 석탄을 캐는 작업을 했으며 갱도가 무너져 목숨을 잃는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3년간 광부 계약 기간이 끝난 뒤 일반 회사에 취업해 65세에 정년퇴직할 때까지 근무했다. 그는 독일로 간 2년 뒤, 역시 독일에 간호사로 파견됐던 부인을 만나 결혼했다. 세 자녀는 독일에서 대학을 마치고 의사와 작가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씨는 2009년 부인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와 독일마을에 정착했다. 그는 “광부나 간호사 출신으로 은퇴한 뒤 독일에 살고 있는 교포들은 한국에 들어오고 싶어도 경제적인 형편이 되지 않아 눌러앉아 살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이라면서 “이들이 적은 부담으로 한국에 돌아와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이 관심을 갖고 적극 지원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남해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4-03-26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