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폭탄테러] 한국인 한 달 600명꼴 찾아가 관광업 테러로 정부 압박한 듯

[이집트 폭탄테러] 한국인 한 달 600명꼴 찾아가 관광업 테러로 정부 압박한 듯

입력 2014-02-18 00:00
업데이트 2014-02-18 0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지 여행사 33년째 오종범씨

이집트 카이로에서 33년째 여행사를 운영해 온 오종범(63)씨는 17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아랍의 봄’으로 불리는 혁명 사태가 일어난 2011년 전까지 매해 만명 이상에 달하던 성지순례객의 발길이 뚝 끊겼다가 최근 들어 한 달에 500~600명 정도가 온다”며 “자생적 테러리스트가 급증하는 시나이반도를 방문하는 성지순례 관광이 위험하다는 것을 대부분 인지하고 있지만 이집트에선 여전히 5~6개의 한국인 대상 여행업체가 활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종범씨
오종범씨


이어 오씨는 “이집트 정부는 외국인이 여행업을 하도록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보통 가이드를 하다가 현지 여행사의 한국 파트장으로 계약을 맺고 활동한다”며 “현지 치안이 좋지 않아 관광객들이 줄면서 프리랜서로 활동하던 가이드 대부분이 출국했고, 10명 남짓 되는 여행사 사장들이 직접 가이드로 나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오씨에 따르면 이집트의 전체 호텔 가운데 15%만이 운영될 정도로 현지 관광업은 불황이다.

그는 테러범들이 한국인을 표적으로 삼았을 가능성은 적다고 말했다. 오씨는 “테러가 발생한 날은 지난해 7월 축출된 무함마드 무르시 전 대통령의 공판일이었다”면서 “그를 지지하는 반정부 세력들이 이집트 관광산업에 해를 입히기 위해 벌인 테러로 추측된다”고 전했다. 이어 “원래 이스라엘과 이집트를 오가는 관문은 가자지구에도 하나 있었지만 워낙 위험해 문을 닫았다”면서 “이번 폭탄 테러가 일어난 타바지역이 국경을 넘을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 테러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말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2-18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