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탑서 사리 46과 수습

석가탑서 사리 46과 수습

입력 2013-05-08 00:00
업데이트 2013-05-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66년 재봉안 때 2과 분실

국보 21호인 불국사삼층석탑(일명 석가탑)에서 이미 확인된 사리 1과(顆) 외에 45과가 추가로 확인돼 모두 46과가 수습됐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29일 수습된 사리 45과.
지난달 29일 수습된 사리 45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달 29일 석가탑에서 사리 45과를 추가로 수습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달 2일 수습돼 문화재보존과학센터로 이송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탑 안에 넣는 공양구)에 봉안돼 있던 것이다. 유리제사리병(복제품: 1966년 석가탑 해체·수리 때 파손)에서 44과, 목제사리병에서 1과가 나와 모두 45과를 수습했다. 지난달 2일 은제사리호(銀製舍利壺) 내의 은제사리합(盒)에서 수습돼 불국사 무설전에 모신 1과를 합하면 석가탑 해체·수리 과정 중 수습된 사리는 모두 46과다.

그러나 사리의 수는 1966년 석가탑 해체·수리 때 수습된 것보다 2과가 부족하다. 당시 사리장엄구 안에는 유리제사리병 46과, 은제사리합 1과, 목제사리호 1과 등 모두 48과의 사리가 들어 있었다. 고려 초 정종 4년(1038년)에 쓰인 ‘불국사 서석탑 중수기’에 유리제사리병에 47과의 사리가 들어 있다고 기록됐을 뿐 은제사리합과 목제사리호에 대한 기록이 없어 1038년 이후 최소 한 차례 이상 석가탑이 수리됐을 가능성이 제기됐었다.

경주에서 1000여년 만의 전면적 해체·수리를 진두지휘하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배병선 건축문화재연구실장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1966년 석가탑을 해체·수리한 뒤 당시 불국사 주지 스님이 재봉안하는 과정에서 유리제사리병을 떨어뜨려 병이 파손되고 사리는 흩어졌는데 이때 2과를 마저 수습하지 못한 것 같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수습한 사리를 석탑에 재봉안하기 전까지 불국사 무설전에 모시고 내년 3월까지 석가탑 사리친견법회를 개최한다.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3-05-08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