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물지 않은 상처, 혜진ㆍ예슬 동네선 아직도 쉬쉬

아물지 않은 상처, 혜진ㆍ예슬 동네선 아직도 쉬쉬

입력 2012-12-24 00:00
업데이트 2012-12-24 17: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젠 거의 다 잊었어, 그 얘긴 꺼내지도 마”

안양 초등학생 살해사건 5주기를 맞은 24일 혜진(당시 10세)ㆍ예슬(당시 8세)양이 다녔던 안양 명학초등학교 주변.

학교 바로 앞 간이 교차로를 비롯, 골목 곳곳에 CCTV(폐쇄회로)가 설치돼 있는 게 눈에 들어왔다. 이는 사건 직후 경기도와 안양시 등에서 ‘안전한 학교만들기’ 일환으로 보강한 안전시설물들이다.

사건 이후 시설물이 보강되고 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심리치료가 실시되는 등 상처를 잊기 위한 노력들이 곳곳에서 진행됐지만 5년이 지난 지금도 이 지역 주민들은 여전히 사건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며 경계하는 분위기였다.

학교 인근의 한 상점 주인은 “거의 다 잊어가는 걸 왜 또 물어보느냐”며 “상처가 덜 아물어서인지 동네 사람들은 그 일에 대해 말하는 걸 싫어한다”고 전했다.

신원을 밝히기 꺼려한 또다른 학부모도 “거의 잊었지만 너무 끔찍한 사건이었기 때문에 아직까지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강산이 절반은 변했을 시간이어서인지 이 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대부분 아예 혜진ㆍ예슬 사건을 알 지 못했고, 간혹 고학년 학생들만이 어렴풋이 기억하고 있는 게 다였다.

김현호(5학년)군은 “5년 전 입학하자마자 학교에서 장례식을 치렀던 게 기억난다”면서 “그때는 뭔일인지도 모르고 마냥 불안하고 그랬는데, 아직도 어른들은 그 사건 얘기하는 걸 꺼려하시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백일선 명학초등학교 교장은 “아직까지도 상처가 돼서인지 다들 그 사건에 대해 말하지 않으려고 스스로 조심한다”며 “사건 이후 명학초는 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한 생활지도방문과 안전 점검강화 등 안전사고 막기에 노력해 혜진ㆍ예슬 사건 이후 단 한 건의 사고도 없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