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 장애 극복 ‘뇌 비밀’ 밝혀졌다

외상후 장애 극복 ‘뇌 비밀’ 밝혀졌다

입력 2011-07-05 00:00
업데이트 2011-07-0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류인균·김지은 교수팀 첫 규명

사고나 재해 등으로 정신적 충격을 받았을 때 뇌가 그 충격을 극복하는 과정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해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생존자를 5년동안 추적 검사해 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4일 서울대 류인균, 이화여대 김지은 교수팀이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생존자 30명을 대상으로 5년동안 임상검사·뇌영상 평가·신경심리 검사 등을 진행한 결과, 뇌의 배외측(背外側) 전전두엽이 심리적 외상 회복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배외측 전전두엽’(DLPFC)은 전전두엽이라는 뇌의 앞 쪽 부위 중에서도 바깥쪽 상단을 말한다. 전전두엽은 다른 종의 생물에 비해 특히 인간에게서 발달한 부분으로, 부정적 정서를 재해석하고 원치 않는 기억을 억제하는 등 정서를 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생존자들의 경우 배외측 전전두엽 부분이다일반인에 비해 5~6% 정도 두꺼워졌다가 외상에서 회복함에 따라 서서히 정상 수준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했다. 전전두엽 부분이 커질수록 심리적 상처가 치유되는 정도도 더 크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류인균 서울대 교수는 “외상 이후 나타나는 뇌의 반응과 변화, 생물학적 회복 과정을 최초로 규명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7-05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