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담한 외교”… 국정원 “김정은, 11월 부산 올 수도”

트럼프 “대담한 외교”… 국정원 “김정은, 11월 부산 올 수도”

임일영 기자
임일영, 박기석 기자
입력 2019-09-25 02:06
업데이트 2019-09-25 0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대통령, 유엔총회 연설서 北비핵화 촉구

이미지 확대
한미정상 65분간 회담
한미정상 65분간 회담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인터콘티넨털 바클리 호텔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대화하고 있다. 청와대는 양국 정상이 이번 회담에서 한미 동맹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및 안보의 핵심축으로서 추호의 흔들림도 없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뉴욕 AP 연합뉴스
국정원 “북미 실무협상 2~3주내 재개 전망
김 위원장 새달 초 다섯 번째 방중 가능성”
한미 정상회담선 “北에 무력 안 쓴다” 재확인
이미지 확대
文·金 다시 손잡나
文·金 다시 손잡나 국가정보원이 24일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김 위원장의 사상 첫 방남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지난 6월 30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악수하는 모습.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북한의 엄청난 잠재력을 거론하며 북한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비핵화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미국은 어느 누구든지 전쟁을 할 수는 있지만 가장 용기 있는 자들만이 평화를 선택할 수 있다는 걸 안다”며 “같은 이유로 우리는 한반도에서 대담한 외교를 추구해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실무협상 재개 분위기가 무르익고 연내 3차 북미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북미대화에 다시 청신호가 켜진 상황에서 이뤄졌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정보원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에 대해 “북미 비핵화 협상의 진행에 따라 부산에 오지 않겠나 보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에 대해서는 “2~3주 안에 재개될 가능성이 크고, 실무협상에서 합의가 도출될 경우 연내에도 3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다섯 번째로 중국을 방문, 북중 정상회담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며 “북중 수교일인 10월 6일을 전후해 가능성이 있다. 김 위원장이 방중할 경우 방문 지역은 베이징 지역이나 동북 3성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 미국 뉴욕 인터콘티넨털 바클리 호텔에서 65분 간 가진 정상회담에서 조기에 북미 실무협상을 통해 실질적 성과를 이뤄 나가자는 데 합의했다. 특히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 ▲평화 체제 구축 ▲완전한 비핵화를 골자로 한 6·12 ‘싱가포르 합의’ 정신이 유효하며 북한을 상대로 무력 사용을 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재확인했다. 한미 동맹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안보의 핵심축(린치핀)이며 추호의 흔들림도 없다는 입장을 확인함으로써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를 둘러싸고 불거진 동맹 균열 우려를 불식시켰다.

뉴욕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서울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9-09-25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