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재료 ‘희토류’···“北 광산에 20억t 매장 추정”

미사일 재료 ‘희토류’···“北 광산에 20억t 매장 추정”

오세진 기자
입력 2016-06-17 11:20
업데이트 2016-06-17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의 광물자원 분포도. 한반도 광물자원개발 융합연구단 홈페이지 화면 캡처
북한의 광물자원 분포도. 한반도 광물자원개발 융합연구단 홈페이지 화면 캡처


북한 광산에 희토류가 20억t 가량 매장돼 있다는 국내 연구진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희귀 광물 중 하나인 희토류는 현재 반도체, 미사일 등 첨단제품 생산에 필수 재료로 쓰이고 있다.

17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한반도 광물자원개발 융합연구단(DMR연구단)이 만든 ‘북한 지역 광물 조사정보’ 자료에 따르면 북한 지역에는 철(무산), 금(운산·대유동), 동(혜산·허천), 연-아연(검덕), 마그네사이트(대흥·쌍룡·룡양), 희토류(정주) 등의 광물이 매장돼 있다. 이중 활용 가치가 높은 희토류는 20억t 가량 매장돼 있는 것으로 DMR연구단은 분석했다.

북한에 광물 자원 매장량이 많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져 있지만 한반도 생성 과정, 남한 및 중국 일대 지질 정보, 인공위성에서 얻은 영상자료 등을 종합해 지역별로 어떤 종류의 광물이 얼만큼 매장됐는지를 보여주는 지도를 정부 차원에서 완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DMR연구단은 북한 자원 개발의 문제점도 분석했는데, 기술·재원 부족과 열악한 인프라로 자원 매장량과 비교하면 생산량이 적다고 설명했다. 채굴한 자원도 가공하지 못하고 원광·정광 상태로 중국에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지역 광물지도’를 홈페이지(http://dmr.kigam.re.kr/

에 게시한 DMR연구단은 앞으로 중국 연구진과 지질광상 해석·탐사모델 정립을 위한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DMR연구단은 남북 통일시대를 대비해 ‘자원·인프라 융합기술 확보’라는 국가 과제 해결을 목표로 지난해 말 출범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재료연구소가 중심이 돼 꾸려진 DMR연구단은 북한 지역 자원 부존 잠재성이 높은 광화대를 중심으로 자원개발에 필요한 맞춤형 핵심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