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평화협력구상 회의 첫 개최…각국 협력 모색

동북아평화협력구상 회의 첫 개최…각국 협력 모색

입력 2014-10-28 00:00
업데이트 2014-10-28 07: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제외 6자회담국 정부대표 참석…北은 초청에 불응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을 실천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다자회의가 외교부 주최로 처음 열린다.

외교부는 28일 국립외교원에서 정부 대표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평화와 협력의 동북아시아로 가는 길’을 주제로 동북아평화협력포럼을 개최한다.

이날 포럼은 개회식 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라크다르 브라히미 전 유엔·아랍연맹 시리아 특사, 알렉산더 버시바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사무차장, 첸홍산(錢洪山) 중국 외교부 부장 조리 등이 기조연설을 한다.

이어 오후에는 국립외교원에서 전문가 참석자간에 원자력 안전, 에너지 안보, 사이버 스페이스 등의 주제를 놓고 정부간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정부 대표들은 외교부 청사에서 이경수 외교부 차관보 주재로 동북아평화협력 회의를 별도로 갖는다.

비공개로 진행되는 이 회의에는 미국에서는 시드니 사일러 6자회담 특사, 중국에서는 싱하이밍(邢海明) 외교부 아주국 부국장, 러시아에서는 그리고리 로그비노프 외무부 북핵담당 특별대사, 일본에서는 가나스키 겐지(金杉賢治) 주한 일본대사관 차석공사 등이 참석한다.

또 김원수 유엔 사무총장 특보 등이 옵서버로 함께 자리한다.

정부 대표들은 이 회의에서 동북아 국가간 협력이 가능한 기능·분야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협력이 가능한 부분에 대한 각국의 의견을 청취하고 의견을 모아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은 동북아국가들이 환경과 재난구조, 원자력안전, 테러대응 등 연성 이슈부터 신뢰를 쌓고 점차 다른 분야까지 범위를 넓혀가자는 다자간 대화프로세스 구상이다.

이 구상에는 북한도 포함되며 정부는 북한에도 공식으로 포럼 참석을 요청하는 초청장을 보냈으나 북한은 참석에 응하지 않았다.

정부는 앞으로 정부간 논의 수준을 점차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외교부는 “이번 포럼이 일회성 행사로 그치지 않도록, 정부간 협의 및 참가자들간 네트워크를 지속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동북아평화협력포럼은 29∼30일에도 경기도 곤지암리조트에서 워킹그룹 토론 형식으로 계속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