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성지순례 한인 191명 귀국길… 27명은 요르단으로

이스라엘 성지순례 한인 191명 귀국길… 27명은 요르단으로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3-10-11 01:31
업데이트 2023-10-11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기체류 482명 중 218명 나와
박진 “안전 귀국 위해 모든 조치”
우리 국민 인질·피해 접수 없어

이미지 확대
이스라엘 탈출 행렬
이스라엘 탈출 행렬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무력 충돌이 벌어진 지 나흘째인 1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 공항의 출국장에 탈출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텔아비브 연합뉴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무력 충돌이 나흘째 이어지는 가운데 성지순례 중이던 191명이 10일(현지시간) 오후 대한항공 편을 통해 귀국길에 올랐다. 27명은 육로를 통해 인접국 요르단으로 이동하는 등 현지에 머물던 단기체류자들의 ‘엑소더스’가 이어졌다.

10일 외교부에 따르면 이스라엘에는 장기체류자 570여명 외 단기체류자 480여명이 머물렀는데 이들 중 218명이 이스라엘을 빠져나온 것이다. 12일에도 30명이 터키항공을 이용해 출국할 예정이다.

단기체류 국민은 당초 대한항공 직항편(인천~텔아비브) 이용객 360명으로 파악됐는데, 제3국 항공사를 이용해 입국한 122명이 추가돼 총 482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외교부는 현지에 잔류할 단기체류자 230여명에 대해서도 항공편이나 육로를 통한 출국을 안내 중이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감에서 ‘한국인 피해나 인질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나’라는 질문에 “그렇다. 공관에 피해 접수된 사례는 없다”고 했다. 이스라엘군이 곧 투입될 것으로 보이는 가자지구에도 교민 일가족이 남아 있다. 박 장관은 “(이들은) 피신 상태에 있지만 상황을 보고 안전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가자지구 내 비교적 안전한 지역에 머물고 있다는 게 외교부 설명이다.

‘군용기 파견 등 교민 철수 작전을 검토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박 장관은 “안전 귀국을 위해 모든 필요 조치를 강구 중”이라고 답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쿠데타가 발생했던) 수단과 단순 비교가 어렵다. 이스라엘은 국제공항이 정상 운영되고 있고 그런 사정을 고려해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일영 기자
2023-10-11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