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핵잠 올라탄 尹 “한미, 북핵 위협에 압도적 대응”

美핵잠 올라탄 尹 “한미, 북핵 위협에 압도적 대응”

안석 기자
안석, 강국진 기자
입력 2023-07-20 00:34
업데이트 2023-07-20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핵심 전략자산 외국 정상 첫 탑승
北, 새벽 단거리 미사일 무력시위
켄터키함 타격 가능 사거리 비행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9일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한 미 해군 전략핵잠수함(SSBN) 켄터키함에 승함하고 있다. 미국의 전략핵잠수함이 국내에 입항한 것은 1981년 3월 ‘로버트 리함’ 이후 42년 만이다. 켄터키의 선체 길이는 170m, 폭은 약 13m로 사거리가 1만 2000㎞에 달하는 탄도유도탄 ‘트라이던트Ⅱ’를 20여기 실을 수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9일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한 미 해군 전략핵잠수함(SSBN) 켄터키함에 승함하고 있다. 미국의 전략핵잠수함이 국내에 입항한 것은 1981년 3월 ‘로버트 리함’ 이후 42년 만이다. 켄터키의 선체 길이는 170m, 폭은 약 13m로 사거리가 1만 2000㎞에 달하는 탄도유도탄 ‘트라이던트Ⅱ’를 20여기 실을 수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19일 전날 부산항에 입항한 미 해군 전략핵잠수함(SSBN) 켄터키함(SSBN 737)에 올라 한미 정상의 ‘워싱턴선언’을 계기로 더욱 강화된 대북 억제력을 강조했다. 앞서 북한은 이날 새벽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발사, 전날 한미 핵협의그룹(NCG) 출범과 SSBN 입항을 겨냥한 무력시위를 이어 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부산 해군작전사령부를 찾아 “한미 양국은 앞으로도 핵협의그룹, SSBN과 같은 전략자산의 정례적 전개를 통해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압도적이고 결연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와 동행한 일정에서 한미 군 관계자들을 격려하고 SSBN을 시찰했다. 우방국을 포함해 외국 정상이 핵탄두를 장착한 미국의 핵심 전략자산인 SSBN 내부에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사거리 1만 2000㎞에 이르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트라이던트Ⅱ를 탑재한 것으로 알려져 미국의 가장 강력한 전략무기로 꼽히는 SSBN을 윤 대통령이 직접 찾은 것은 ‘한국에 대한 미국 전략자산의 정례적 가시성을 증진한다’는 워싱턴선언이 순조롭게 이행되고 있음을 안팎에 드러내 북한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켄터키함을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전략자산 중 하나”라고 설명한 윤 대통령은 “이번 켄터키함의 전개는 미국의 전략자산을 정례적으로 전개하고 확장억제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미 양국의 의지를 잘 보여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해군작전사령부의 한미 장병들을 격려하며 “평화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며, 진정한 평화는 한미동맹의 압도적이고 강력한 힘으로 보장될 수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의 부산행에 앞서 북한은 두 발의 SRBM을 동해상에 발사하는 무력시위를 감행, 긴장을 고조시켰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오전 3시 30분과 3시 46분에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쪽으로 탄도미사일 두 발을 발사했으며 각각 550여㎞를 비행한 뒤 동해상에 탄착했다.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북한 순안에서 부산까지의 직선거리(554㎞·구글 지도 기준)와 거의 일치해 북한이 언제든 켄터키함을 기습 타격할 수 있다는 점을 과시하려는 의도란 분석이 나왔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지난 12일 고체연료 추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 발사 이후 일주일 만이다.

안석·강국진 기자
2023-07-20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