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북, 김정은-푸틴 회담 앞두고 탄도미사일 2발 발사

[속보] 북, 김정은-푸틴 회담 앞두고 탄도미사일 2발 발사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09-13 12:01
업데이트 2023-09-13 1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합참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 2발 발사”
“지도자 외국에 있는데 미사일 발사 감행은 처음”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북한이 러시아와 정상회담을 앞두고 탄도미사일을 기습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13일 “우리 군은 오전 11시 43분경부터 11시 53분경까지 북한이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NHK 보도에 따르면 일본 해상보안청은 탄도미사일 두 발 가운데 먼저 발사된 한 발은 이미 배타적경제수역(EEZ) 밖에 낙하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날 오전 11시 46분 발표했다.

일본측 보도가 맞다면 미사일 가운데 한 발은 발사된 지 3분여만에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지난달 30일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쏜 이후 14일 만이다.

특히 이번 미사일 도발은 러시아를 방문 중인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날 오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뤄졌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고지도자가 국외에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역대 처음으로 보인다”며 “지도자가 자리를 비웠어도 군사대비태세를 철저히 갖추고 있다는 자신감의 표출”이라고 분석했다.

탄도미사일 발사는 북러 정상회담을 겨냥해 연일 경고음을 내온 미국에 대한 견제 성격도 있어 보인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국제적인 왕따(pariah)에게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자국 영토를 가로질러 여행할 수밖에 없는 것을 저는 ‘지원에 대한 구걸(begging)’이라고 규정하고 싶다”고 말한 바 있다.

홍 연구위원은 “미 국무부의 ‘왕따’ 등 언급에 북한이 미사일 도발로 불쾌감을 표시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합참은 “우리 군은 추가 발사에 대비하여 감시 및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