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 취약계층 212만명에 쌀 5만톤 지원

정부, 北 취약계층 212만명에 쌀 5만톤 지원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19-06-28 13:07
업데이트 2019-06-28 1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북 식량지원 위한 남북협력기금 지원안 의결

이미지 확대
김연철 통일부 장관 연합뉴스
김연철 통일부 장관
연합뉴스
정부가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북한 내 취약계층 총 212만명에게 국내산 쌀 5만톤을 지원한다.

통일부는 28일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교추협)에서 ‘대북 식량지원을 위한 남북협력기금 지원안’을 의결했다. 현물공여 방식으로 지원하는 쌀 5만톤은 WFP의 대북지원 사업 수혜 대상인 북한 내 120개 시·군 취약계층 총 212만 명에게 제공된다.

제공 대상자 중 149만 5000명은 WFP의 영양지원 사업 대상인 임신·수유 중 여성과 영유아 등이다. 이들은 우리 정부가 지원하는 쌀과 함께 WFP의 ‘영양강화 식품’을 제공받는다.

정부는 이번 WFP를 통한 대북 쌀 지원을 위해 한화 272억 6000만원과 미화 1177만 4899달러(한화 136억여원) 등 총 408억여원 범위에서 남북협력기금을 지출하기로 의결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지급되는 한화 272억 6000만원은 쌀 5만톤의 국제시세에 해당하는 금액과 국내에서의 운송비 등을 포함한다. 국내 항구 선적 후 북한 항구까지 수송 비용, 북한 내 분배·모니터링 비용 등이 미화 1177만 4899달러범위에서 WFP에 지급된다.

통일부는 “WFP는 북한 상주 모니터링 요원을 증원하고, 평양 외에 지역사무소를 개소하는 등 쌀 도착 및 분배 전 과정에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지난 19일 대북 쌀 지원 방침을 발표하고서 남북협력기금 지출을 위해 21∼28일 관계부처 차관과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교추협 위원들에게 서면으로 의견을 받는 심의 과정을 거쳤다.

지난 19일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통상적으로 발표 후에 제1항차가 출발할 때까지는 약 한 달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고 밝혀, 첫 선적은 다음 달 하순이 될 전망이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