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공천혁신안 투표 ‘뜨거운감자’…거수냐 무기명이냐

野 공천혁신안 투표 ‘뜨거운감자’…거수냐 무기명이냐

입력 2015-09-14 17:35
업데이트 2015-09-14 17: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규엔 ‘거수·기립 원칙, 인사사항 비밀투표’ 규정주류 “인사사항 아냐” vs 비주류 “사실상 인사투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정치적 명운이 걸린 중앙위원회의 혁신안 의결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투표방식이 14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주류 진영에서는 박수 등을 통한 만장일치 의결을 선호하면서도 부득이하게 표결할 경우에는 최소한 거수·기립 투표를 해야 한다며 ‘공개투표’를 주장하지만 비주류 진영은 무기명투표가 아니면 중앙위를 보이콧할 수도 있다며 맞서고 있다.

투표 방식에 따라 투표결과도 크게 달라질 가능성이 있어 주류·비주류 진영간 샅바싸움이 치열하다.

비주류는 거수·기립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되면 누가 찬성 또는 반대했는지 드러나는 만큼 ‘혁신에 반대한다’는 부담 탓에 반대표가 대폭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한다.

새정치연합 당헌·당규에는 중앙위 의결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지 않아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당규에는 당무위의 의안 처리 방법에 대해서만 ‘거수 또는 기립으로 하되, 인사에 관한 사항은 비밀투표로 한다. 다만, 이의가 없는 경우 당무위원회 의장은 표결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

주류와 비주류는 이를 두고도 정반대 해석을 내놓고 있다.

주류 진영은 이번 중앙위 의결안건은 공천혁신안일 뿐, 인사에 관련한 사항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문 대표 측 인사는 “인사사항도 아닌데 의결방식을 바꿔 무기명투표를 할 아무 이유가 없다”며 “지난 7월 20일 1차 중앙위에서도 기립투표를 했다. 이번에도 거수·기립 투표를 준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비주류측은 문 대표가 사실상 이번 혁신안 통과를 자신의 재신임 문제와 연계, ‘인사에 관한 사항’에 해당하는 만큼 비밀 투표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비주류측 의원은 “문 대표 측 당직자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손을 들거나 일어서라고 하면, 누가 감히 반대표를 던지겠나”라며 “실제로 지난 중앙위에서도 기립투표를 하는 바람에 눈치가 보여 반대하지 못했다는 인사들이 많았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당규에는 ‘의장이 표결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는 단서조항도 달려 있어, 중앙위 의장을 맡은 김성곤 의원의 선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 관계자는 “주류가 수적인 우세를 점하고는 있지만, ‘출석과반’이 아닌 ‘재적과반’의 찬성이 필요해 통과를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라며 “예상외로 근소한 차이로 결과가 갈릴 수 있는 상황이어서 투표방식은 매우 큰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