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노다 日총리와 ‘차별화 외교행보’

李대통령, 노다 日총리와 ‘차별화 외교행보’

입력 2012-09-09 00:00
업데이트 2012-09-09 1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韓, 안보ㆍ경제 등 다양한 협의..日, 영토 국한해 ‘국내용’ 지적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외교 무대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의 엇갈린 행보가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들어 한-일관계가 독도 문제와 일본군 성노예를 비롯한 과거사로 급랭한 가운데 양국 정상이 나란히 APEC 회의에 참석하자, 두 정상 간 물밑에서 벌어지는 일거수일투족이 조명을 받았다.

특히 일본은 APEC 의장국인 러시아는 물론, APEC 회원국으로 참석한 중국과도 영토 분쟁을 겪고 있어 한-중-일-러 정상이 민감한 시기에 한자리에 모이게 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 대통령이 회의 첫날인 8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반갑게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포착됐다.

공식적인 양자회담은 아니었지만 APEC 제1차 회의에 앞서 대기하던 중 양 정상이 ‘포옹’을 하고 이 대통령이 중국 내 지진 피해에 대한 위로를 건네면서 우의를 과시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는 별도 양자회담을 열어 양국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남-북-러 가스관 연결을 비롯한 극동 시베리아 개발 협력과 같은 경제 문제 뿐만 아니라 북한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 등을 주제로 긴밀한 대화를 나눴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9일 힐러리 클린턴 국무부 장관과도 따로 만나 북한 정세 및 동향에 대해 논의하고, 동북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전통적 한-미 동맹을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반면, 노다 총리의 행보는 대체로 영토 문제에 국한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센카쿠(尖閣ㆍ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를 둘러싸고 중국과 갈등을 빚은 상황에 노다 총리와 후 주석 간 의미 있는 만남이 이뤄지지 않자 양국간 냉랭한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러시아와는 우리나라처럼 별도 양자회담 형식이 아닌 ‘풀 어사이드 미팅(pull aside meetingㆍ비공식 회동)’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노다 총리는 회동 후 자국 취재진과 만나 12월 방러 사실을 공개하며 쿠릴 4개섬(일본명 북방영토) 반환 교섭에 대해 언급했다.

이 대통령과도 가볍게 악수를 했을 뿐 특별한 대화를 나누지는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노다 총리는 한국ㆍ중국과는 영토 문제가 껄끄러워 모처럼 마련된 외교석상에서 제대로 된 협의를 하지 못했고, 러시아와 회동에서도 영토 문제에 집중한 셈이다.

이를 두고 지지율이 떨어진 노다 정부가 오는 10월로 예상되는 총선을 의식하면서 국제 외교에서 스스로 운신의 폭을 좁힌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