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朴 “공천헌금 파문, 사당화의 필연적 결과”

非朴 “공천헌금 파문, 사당화의 필연적 결과”

입력 2012-08-03 00:00
업데이트 2012-08-03 15: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사당화 징조’ 책임 면할길 없어”

새누리당 비박(非朴ㆍ비박근혜) 대선주자 4인은 3일 현영희 의원과 현기환 전 의원이 연루된 ‘4ㆍ11 총선’ 공천헌금 의혹과 관련, “특정인의 사당화로 권력이 집중돼 생기는 필연적 부패와 비리의 결과”라고 밝혔다.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ㆍ김태호 의원ㆍ안상수 전 인천시장ㆍ김문수 경기지사(기호순)는 이날 오후 국회 공동기자회견에서 “당이 지난번 비상대책위 과정에서부터 잘못된 길을 걸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들은 “1인에게 전권을 백지위임하는 것 자체가 민주사회에서 전무후무한 일이고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그런 사당화의 징조에 대해 책임을 면할 길은 없다”며 “지금은 ‘함께’ 새누리당이 아니라 ‘홀로’ 새누리당”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들의 일문일답.

--이번 사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김문수) 제가 17대 총선에서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은 이후로 공천을 둘러싼 현금 비리는 없었다. 공천을 둘러싼 금품의혹은 8년만에 처음이다. 특정인의 사당화로 권력이 지나치게 집중돼 생기는 필연적 부패와 비리의 결과다.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 사당화된 것은 반드시 사적으로 이런 비리를 낳는다. 1인 정당화와 그로 인한 폐쇄성, 당내 민주주의 실종 등 새누리당의 모습에 따른 많은 국민의 우려와 염려가 현실로 드러난 빙산의 일각이라고 본다. ‘검찰에서 모든 게 밝혀지지 않겠느냐’고 한가한 얘기를 할 때가 아니다. 의혹을 철저히 밝히고 대청소하지 않고는 역사 앞에 낯을 들 수 없다.

--김문수 지사는 어제 연설회에서 박 전 위원장의 책임론을 거론했는데.

▲당이 지난번 비상대책위 과정에서부터 잘못된 길을 걸어왔다고 본다. 어떤 1인에게 전권을 백지위임하는 것 자체가 민주사회와 민주정당에서는 전무후무한 일이다. 이런 부분에 대해 근본적이고 대대적인 쇄신ㆍ개혁이 있어야 한다. 총선 전의 어려움보다 더 큰 위기다. 우리가 이런 위기에 대해 경종을 울려도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을 정도로 당이 철저하게 사당화됐다. 그런 사당화의 징조에 대한 여러 책임을 박 전 위원장이 면할 길이 없다.

--향후 ‘중대 결단’ 입장은 언제 발표하나.

▲4명이 계속 만나서 입장을 표명할 것이다. 당의 모든 구조가 정상작동되지 않고 있다. 공식기구가 작동된다면 지금 의원총회를 열고 중진의원 회의도 열어야한다. ‘검찰이 알아서 할 것이다’, ‘당사자들이 검찰에 출두하면 된다’고 하면 당이 왜 필요한가. 뭐하러 당을 만드나. 지금 새누리당은 ‘함께’ 새누리당이 아니라 ‘홀로’ 새누리당이 됐다. 개탄스러운 현실이다.

--경선에 불참할 가능성도 있나.

▲(임태희) 너무 예단해서 생각하지는 말아달라. 어제 당 대표와 대권주자들의 연석회의를 요구했고, 방금 연석회의 형식이 아닌 변형된 형식으로 자리를 만들겠다는 연락이 왔다. 연석회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김태호) 그 자리에 후보를 불렀으면 모두 같이 불러야 하는데 제가 듣기로는 박 전 위원장은 참석하지 않는 걸로 들었기에 참석 자체가 의미가 없어졌다.

--1인 사당화를 비판하면서 박 전 위원장이 아닌 황우여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는 이유는.

▲(김태호) 비상적 상황으로 당이 전면 쇄신의 길로 다시 들어가야 한다. 이런 모습으로는 정권 재창출이 어렵다는 충정에 따른 것이다. 당 대표가 가장 책임있는 자리에 있고 모든 어려움을 안고 새롭게 태어난다는 각오와 상징성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4ㆍ11총선 공천 당시 핵심 비상대책위원이자 원내대표로 역할한 부분도 있지만 우리가 쇄신하겠다는 의지를 담는 결단의 모습이 더 중요하다는 차원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