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경선룰 논의기구 이견…절충난항 예고

새누리 경선룰 논의기구 이견…절충난항 예고

입력 2012-06-13 00:00
업데이트 2012-06-13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非朴 “경선룰 별도기구 설치” 親朴 “최고위서 논의”

새누리당 친박(親朴ㆍ친박근혜)과 비박(非朴ㆍ비박근혜)주자 측이 경선 룰을 놓고 접점 없는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황우여 대표가 경선 룰 논의기구 구성 방침을 밝히면서 중재에 나섰지만 양측의 입장차가 워낙 커 조율이 난망한 상태다. 어느 한 쪽의 ‘결단’이 없으면 절충안을 마련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해 보인다.

경선 룰 논의기구를 어떤 형태로 가져갈 것인가 하는 문제부터 풀리지 않고 있다.

황 대표가 제시한 4가지 방안, 즉 ▲최고위에서 직접 논의하는 방안 ▲최고위 산하에 두는 방안 ▲경선관리위원회 산하에 설치하는 방안 ▲별도기구를 설치하는 방안 가운데 비박은 ‘별도기구’를, 친박은 ‘최고위 논의’를 각각 주장하고 있다.

비박주자측 관계자는 1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별도의 경선 룰 논의기구를 만든다면 검토해 볼 수 있다”면서 “그 이외의 다른 안은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친박 핵심 의원은 “경선 룰 개정을 전제로 하는 별도기구는 받아줄 수 없다”면서 “최고위에서 논의하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친박 일각에선 별도기구도 검토해 볼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런 상황에서 황 대표가 일단 주자들을 만나 대화를 해 보겠다는 입장이지만 쉽지 않은 형국이다.

설령 어렵사리 경선 룰 논의기구에 대한 접점을 찾는다 하더라도 핵심 사안인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놓고는 양측이 정면충돌하는 양상이어서 합의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김문수 경기지사 등 비박주자 3인방은 대선승리를 위해서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친박 측은 지역별 순회경선과 선거인단 규모 확대는 검토가능하지만 오픈프라이머리는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이 같은 양측의 첨예한 대치 속에 자칫 경선이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당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비박주자 3인은 이미 “후보들 간의 합의로 경선 룰이 확정돼야 후보등록을 할 수 있다”며 배수진을 친 상태다. 친박과 당 지도부가 오픈프라이머리 요구를 끝내 거부하고 현행 룰 대로 경선을 강행할 경우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압박인 셈이다.

여권 관계자는 “양측의 입장이 너무 완강해 걱정”이라면서 “파국을 막고 12월 대선에서 승리하려면 어떻게든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