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활동 중단’ 요구 사실상 거부

北 ‘핵활동 중단’ 요구 사실상 거부

입력 2011-11-30 00:00
업데이트 2011-11-30 1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무성 대변인 “평화적 핵활동 비법화 시도에 단호한 대응””경수로 건설·저농축우라늄 생산 빠르게 추진중”

북한은 30일 한국과 미국 정부가 요구하는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UEP) 등 핵개발 프로그램 가동 중단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자립적 민족경제의 튼튼한 토대와 최첨단을 향해 발전하는 과학기술에 의거해 시험용 경수로 건설과 그 연료 보장을 위한 저농축 우라늄 생산이 빠른 속도로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대변인은 “핵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권리는 우리나라의 자주권과 발전권에 속하는 사활적인 문제로 추호도 양보할 수 없고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기 할 바는 하지 않고 남에게 일방적인 요구를 강박하려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며 “우리의 평화적 핵활동을 비법화하거나 무한정 지연시키려는 시도는 단호하고 결정적인 대응조치를 불러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앞서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정무차관은 지난 22일 서울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가진 약식 기자회견에서 “6자회담이 재개되려면 UEP 중단을 포함한 비핵화 사전조치를 이행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어 북한의 이 같은 입장을 볼 때 당분간 6자회담 재개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변인은 “우려되는 것이 있다면 6자회담에서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고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통해 그의 평화적 성격을 확인시켜줄 수 있다는 신축성 있는 입장도 표명했다”고 말해 지난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2차 북미 고위급 대화에서 IAEA 사찰단의 수용 의사를 밝혔음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는 전제조건 없이 6자회담을 재개하고 동시행동 원칙에 따라 9·19공동성명을 단계별로 이행해 나갈 준비가 되어 있다”며 조건없는 6자회담 재개 입장을 재차 밝혔다.

일각에서는 ‘결정적인 대응조치’와 관련해 북한이 내년 한미 양국의 대선정국을 앞두고 경수로 본격 가동이나 제3차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실시해 6자회담과 북미회담 재개를 압박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