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체조의 ‘전설’ 추소비티나 없는 파리 올림픽…“너무 속상해”

여자 체조의 ‘전설’ 추소비티나 없는 파리 올림픽…“너무 속상해”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4-05-24 09:21
업데이트 2024-05-24 09: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8세에 올림픽 9번째 출전권 도전, 부상에 발목
조기 은퇴 다반사인 체조서 ‘장수 선수’의 상징

이미지 확대
2023년 9월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제19회 아시안게임에 출전한 옥사나 추소비티나(우즈베키스탄)의 경기 모습. AFP 자료 사진
2023년 9월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제19회 아시안게임에 출전한 옥사나 추소비티나(우즈베키스탄)의 경기 모습. AFP 자료 사진
파리 올림픽은 30년 만에 ‘철의 여인’ 옥사나 추소비티나(48·우즈베키스탄)가 없는 대회가 되게 됐다. 여자 기계체조 선수로는 환갑을 훌쩍 넘겼음에도 9회 연속 올림픽 출전을 꿈꿨던 추소비티나가 부상으로 파리행 도전이 멈췄다.

추소비티나는 24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나는 오랫동안 준비해온 아시아체조선수권대회에 참가할 수 없어 너무나 속이 상한다”라며 “우리나라에서, 우리의 팬들 앞에서 연기를 하고 있어 모든 준비를 다했지만 불행하게도 여러분들은 참가 선수 속에서 나를 볼 수 없을 것”이라고 알렸다. 추소비티나는 마루운동 훈련 도중에 다친 것으로 전해졌다. 아시아체조선수권대회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아시아선수권대회 여자 개인종합(도마-이단 평행봉-평균대-마루운동) 1위를 해야 파리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던 추소비티나는 통산 9번째 올림픽 출전 문턱에서 아쉽게도 주저앉았다.

1975년 6월 19일 소련 체제의 우즈베키스탄에서 태어나 49번째 생일을 앞둔 추소비티나는 체조 선수로는 남녀를 통틀어 유일하게 8번의 올림픽에 출전했다. 조기 은퇴가 많은 체조에서 그녀는 관리와 장수 선수의 상징이자 살아있는 전설이 됐다.
이미지 확대
옥사나 추소비티나. AP 자료 사진
옥사나 추소비티나. AP 자료 사진
소련 체제 붕괴 후 1992년 독립국가연합 소속으로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출전한 뒤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 올림픽까지 8회 연속 올림픽 포듐에 섰다. 도쿄올림픽 당시 46세로, 올림픽 참가한 여자 최고령 체조 선수로 기록됐다. 1992년 단체전 금메달,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도마에서 독일 국적으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도마와 마루운동을 석권하는 등 아시안게임에서도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수집했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도마에서는 27살 아래인 우리나라의 여서정(제천시청)에게 밀려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밝힌 추소비티나가 파리 이후의 은퇴할지 올림픽 도전을 계속할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기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