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해외 큰손’에 알리는 우리 미술의 미래...지근욱의 ‘우주’, 이우성의 ‘우리’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8-22 14:23 미술/전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지근욱 작가가 15점의 캔버스를 엮은 대형 작품 ‘교차-형태(복사)’를 선보이고 있다. 학고재 제공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지근욱 작가가 15점의 캔버스를 엮은 대형 작품 ‘교차-형태(복사)’를 선보이고 있다.
학고재 제공

9월초 서울에서 열리는 국내 미술 시장 최대 장터 프리즈·키아프를 앞두고 국내외 주요 갤러리들의 주요 작가 전시가 각축전을 벌이는 가운데 학고재가 젊은 작가 2인을 내세워 ‘우리 미술의 미래’를 알린다. 동세대 서구 작가들과 견줘도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일궈가는 지근욱(38)의 개인전 ‘하드보일즈 브리즈’, 이우성(40)의 개인전 ‘여기 앉아보세요’가 서울 삼청동 학고재 신관과 본관에서 각각 열리고 있다.

지근욱은 색연필을 직접 주문 제작한 곡선 자에 대고 긋는 ‘수행’의 행위를 반복하며 우리 추상에 새로운 울림을 불어넣고 있다. 작품마다 10여가지 색의 색연필을 골라 만들어낸 무수한 선의 굴곡과 율동, 어울림이 보는 이의 마음에 안개처럼 미세하게 스며들어 끊임없는 파동을 일으킨다.
지근욱, 상호-파동 011 Inter-wave 011, 2023, Mixed media on canvas, 50x50cm 학고재 제공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지근욱, 상호-파동 011 Inter-wave 011, 2023, Mixed media on canvas, 50x50cm
학고재 제공

극지방 오로라의 산발하는 빛들과 유성이 떨어지는 궤적에서 보이는 곡선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임시의 테’ 연작들을 보다 보면 전시명처럼 어떤 군더더기도 없는, 온유한 미풍이 어디선가 불어오는 듯하다. 지하 2층에 내걸린 가로 약 8m짜리 대형 작품 ‘교차-형태(복사)’는 수평의 안개를 수직의 선이 가로지르는 캔버스 15점을 이어붙여 완성했다. 거대한 타원의 화폭이 우주를 눈 앞에 가득 마주하는 듯한 경이로운 감각을 안긴다.

“색의 온도와 선이 일렁이는 착시, 화면 자체의 규모나 모양이 주는 인상, 직관적 정서에 주목하며 작품을 폭넓게 해석해 달라”는 지 작가는 “보는 사람의 선택에 따라 ‘무엇이든 될 수 있는 화면’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이우성 작가가 자신의 대형 걸개 그림 ‘해질녘 노을빛 친구들’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정서린 기자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이우성 작가가 자신의 대형 걸개 그림 ‘해질녘 노을빛 친구들’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정서린 기자



이우성의 인물화는 사람을 피하고 두려워해야 했던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고 마주해 더 ‘각별한 기별’로 다가온다. 사실적인 표현이지만 인물의 빛나는 순간과 고유한 분위기를 포착한 따뜻한 시선이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대청마루에 앉아 웃고 있는 친구, 산 뒤로 넘어가는 해와 물결치는 구름을 보는 세 사람의 뒷모습 등 그의 그림 속 청년들이 청량하고 의연해보이는 이유다.

압권은 자주 보지 못하는 오랜 벗들이 오렌지빛이 너울거리는 노을 속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가로 6m짜리 대형 걸개 그림(해질녘 노을빛 친구들)이다. 가족, 친구 등 작가와 곁을 나누는 인연을 담은 화폭은 우리와 지금, 여기 함께 있는 사람들을 겹쳐보게 하며 온기를 전한다.
이우성, 나는 이곳에 다시 올 거야, 2023, 캔버스에 아크릴릭 과슈, 116.8x91cm 학고재 제공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이우성, 나는 이곳에 다시 올 거야, 2023, 캔버스에 아크릴릭 과슈, 116.8x91cm
학고재 제공

작가가 자신을 캐릭터화해 재치 있는 스토리텔링으로 엮어낸 자화상 연작 ‘지금 작업 중입니다’(2023)는 마감 혹은 창작의 고통에 쫓겨본 이들이라면 공감의 웃음을 터뜨릴 수밖에 없는 위트로 자꾸만 시선을 붙든다. 노래방에서 놀면서, 화장실에서 울면서, 수혈받듯 커피를 연신 들이키면서도 작업에 대한 고민을 놓지 못하는 작가의 모습에서 영글어가는 작품세계가 건너다보인다.

이진명 미술평론가는 “이우성은 인간애를 직접 표현하고, 지근욱은 사람과 사물은 모두 소중하다는 생각을 펼치며 외피는 다르지만 사랑이라는 변하지 않는 가치를 찾는다는 공통점을 지닌다”고 짚었다.
이우성 작가의 자화상 연작 ‘지금 작업 중입니다’(2023). 정서린 기자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이우성 작가의 자화상 연작 ‘지금 작업 중입니다’(2023).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