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근욱은 색연필을 직접 주문 제작한 곡선 자에 대고 긋는 ‘수행’의 행위를 반복하며 우리 추상에 새로운 울림을 불어넣고 있다. 작품마다 10여가지 색의 색연필을 골라 만들어낸 무수한 선의 굴곡과 율동, 어울림이 보는 이의 마음에 안개처럼 미세하게 스며들어 끊임없는 파동을 일으킨다. 극지방 오로라의 산발하는 빛들과 유성이 떨어지는 궤적에서 보이는 곡선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임시의 테’ 연작들을 보다 보면 전시명처럼 어떤 군더더기도 없는, 온유한 미풍이 어디선가 불어오는 듯하다. 지하 2층에 내걸린 가로 약 8m짜리 대형 작품 ‘교차-형태(복사)’는 수평의 안개를 수직의 선이 가로지르는 캔버스 15점을 이어붙여 완성했다. 거대한 타원의 화폭이 우주를 눈 앞에 가득 마주하는 듯한 경이로운 감각을 안긴다.
“색의 온도와 선이 일렁이는 착시, 화면 자체의 규모나 모양이 주는 인상, 직관적 정서에 주목하며 작품을 폭넓게 해석해 달라”는 지 작가는 “보는 사람의 선택에 따라 ‘무엇이든 될 수 있는 화면’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이우성의 인물화는 사람을 피하고 두려워해야 했던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고 마주해 더 ‘각별한 기별’로 다가온다. 사실적인 표현이지만 인물의 빛나는 순간과 고유한 분위기를 포착한 따뜻한 시선이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대청마루에 앉아 웃고 있는 친구, 산 뒤로 넘어가는 해와 물결치는 구름을 보는 세 사람의 뒷모습 등 그의 그림 속 청년들이 청량하고 의연해보이는 이유다.
압권은 자주 보지 못하는 오랜 벗들이 오렌지빛이 너울거리는 노을 속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가로 6m짜리 대형 걸개 그림(해질녘 노을빛 친구들)이다. 가족, 친구 등 작가와 곁을 나누는 인연을 담은 화폭은 우리와 지금, 여기 함께 있는 사람들을 겹쳐보게 하며 온기를 전한다. 작가가 자신을 캐릭터화해 재치 있는 스토리텔링으로 엮어낸 자화상 연작 ‘지금 작업 중입니다’(2023)는 마감 혹은 창작의 고통에 쫓겨본 이들이라면 공감의 웃음을 터뜨릴 수밖에 없는 위트로 자꾸만 시선을 붙든다. 노래방에서 놀면서, 화장실에서 울면서, 수혈받듯 커피를 연신 들이키면서도 작업에 대한 고민을 놓지 못하는 작가의 모습에서 영글어가는 작품세계가 건너다보인다.
정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