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버 비트’는 전동 드라이버에 끼워 쓰는 날붙이를 가리킨다. 구멍 뚫을 때 쓰는 ‘드릴 비트’에 비해 종류가 적은 편인데, 이유는 간단하다. 하는 일이라곤 전동 드라이버에 물려 나사못을 돌리는 게 전부라서다.
나사못의 홈에 맞춰 쓰기 때문에 드라이버 비트를 이해하려면 우선 이 부분부터 정확히 알아야 한다. 나사못 홈에는 일자, 십자, 삼각, 사각, 육각, 별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목공에서는 십자 홈의 드라이버 비트를 가장 많이 쓴다. 이를 ‘필립스(phillips)’ 규격이라 부른다. 줄여서 ‘PH 규격’이라 한다. 필립스라는 이가 기존 십자 홈 나사못을 보완해 이를 상용화하면서 유명해졌다. 간혹 전기면도기로 유명한 필립스(philips)와 연관이 있다고 하는 이가 있는데, 잘 모르고 하는 소리다. 둘은 아무런 관계가 없고 영어 철자도 다르다.
그다음으로 많이 쓰는 게 ‘포지드라이브(pozidriv)’다. 줄여서 ‘PZ 규격’이라 부른다. 필립스 규격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나왔다. PH와 PZ는 얼핏 봐선 비슷해 보이기에 잘 살펴야 한다. 끝 부분이 십자인 PH 규격 중간에 작은 돌기를 덧붙인 형태다. 4개의 돌기가 있는 PH에 비해 PZ는 모두 8개여서 돌릴 때 나사못이 이탈하는 현상을 줄였다. 좀 더 단단히 잡아주니 못이 뭉개지는 사고도 덜하다. PZ 규격이 더 나은데도 시중에선 PH 규격을 더 많이 쓴다. 왜 그런지 이유를 찾아봤지만, 시원한 답을 찾을 수가 없었다. PH 규격이 제조하기 쉽고,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 아닐까 싶다.
이번엔 드라이버 비트 머리를 살펴보자. 하나일 때는 단면 비트라 한다. 가성비를 높이고자 머리를 양쪽으로 단 제품을 양면 비트라 부른다.
길이가 다른 여러 비트를 구매할 필요는 없다. ‘연장 홀더’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연장 홀더는 50㎜, 100㎜ 안팎의 길이를 가장 많이 쓴다. 좁은 서랍 내부라든가 꺾인 곳을 조이느라 곤란한 때가 있다. 이럴 때 ‘코너 드라이버’를 쓰면 좋다. 하나쯤 구비해두면 좋지만, 자주 쓰지는 않는다. 뱀처럼 자유롭게 휘는 ‘플렉서블 코너 드라이버’도 있다.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굳이 권하지 않는다. 써보면 알겠지만, 내 맘대로 제어가 잘 안된다.
교체 가능한 ‘드라이버 그립’은 하나쯤 있으면 좋다. 합판처럼 얇은 목재를 나사못으로 조일 때, 혹은 레일이나 경첩 등에 쓰는 작은 나사못을 마지막으로 돌려 마무리할 때는 전동 드라이버보다 손으로 조이는 게 낫다. 끼우는 부분이 6.35㎜ 규격인 드라이버 그립은 드라이버 비트를 끼워 쓸 수 있어 활용성이 높다. 여기에 길이가 짧은 드라이버 비트를 끼우면 주먹 드라이버(stubby driver)로도 사용할 수 있다.
관심은 가지만 섣불리 시작하기 어려운 목공. 해보고는 싶은데 어떨지 잘 모르겠다면 일단 한 번 글로, 눈으로 들여다보세요. 주말이면 공방에서 구슬땀 흘리는 김기중 기자가 목공의 즐거움을 이야기합니다. ‘김기자의 주말목공’은 매주 토요일 아침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김기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