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1분기 저축은행 부실자산 급증…유동성 확보 안간힘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6-03 13:55 경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고객 사정 나빠지자 고정이하여신 5.1%로 급증
유동성은 245%로 상승…예금유치 등 나선 결과
저축은행 연체채권 처분 규제 완화…실적 반등 기대

서울의 한 저축은행. 2023.5.1.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서울의 한 저축은행. 2023.5.1. 연합뉴스.

올해 1분기 부실자산이 큰 폭 증가해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저축은행들이 ‘유동성 확보’에 분투하고 있다. 실적 악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부실채권(NPL)을 폭넓게 매각할 수 있는 길도 열려 저축은행들의 연체채권 관리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 동기(3.3%)보다 1.8%포인트 오른 5.1%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총여신 가운데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저축은행 주요 고객인 중·저신용자의 사정이 나빠져 빚을 제때 갚지 못하자 저축은행 건전성이 동반 악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들이 고수익을 노리고 뛰어들었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도 악화일로다.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들의 PF 연체율은 3.96%를 기록해 2% 수준이었던 지난해 말과 비교해 크게 높아졌다. PF 대출 규모도 11조원으로 전체 여신(108조원)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지 않다.

다만 유동성비율만큼은 전년 동기(167%)보다 78%포인트 급증한 245%로 집계됐다. 유동성비율은 만기 3개월 이내 단기 예금 부채를 충당할 수 있는 유동자산의 비율이다.

유동성비율이 100%보다 낮으면 단기적인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어 기업이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커지는데, 저축은행들이 고객 예금 유치와 유상증자 등을 통해 앞다퉈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결과 이 비율이 반대로 높아진 것이다.

이에 따라 건전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인 BIS 자기자본비율도 올해 1분기 13.6%를 기록, 전년 동기(13.1%)보다 0.5%포인트 개선됐다.

저축은행업계는 경기가 바닥을 찍고 올해 하반기에는 반등하면서 업황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적의 발목을 잡고 있었던 NPL 처분 규제도 완화돼 그간의 부진을 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크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31일 금융사들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만 팔 수 있었던 개인 무담보 연체채권을 민간 유동화전문회사에도 매각할 수 있도록 6월 중 관련 협약을 개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성은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