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미술수업 중 ‘다비드’, ‘비너스’ 등 강의
“우리 아이 이런 작품 보면 안돼” 학부모 항의
플로리다주의 주도 탤러해시에 있는 자율형 공립초등학교 탤러해시 클래시컬 스쿨의 호프 카라스키야 교장은 지난 17일(현지시간) 6학년 대상의 ‘르네상스 미술’ 시간에 이탈리아 피렌체 아카데미아 미술관에 소장돼 있는 ‘다비드상’ 사진을 보여 주며 강의했다. 이 수업에서는 미켈란젤로의 ‘아담의 창조’,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등도 다뤄졌다.
그러나 전신 나체의 다비드상을 교재로 활용한 사실이 알려지자 몇몇 학부모들은 “우리 자녀가 이런 작품을 봐서는 안 된다”며 학교 측에 강하게 불만을 제기했다. 지역신문 탤러해시 데모크라트는 “일부 학부모들은 다윗상을 ‘포르노’라고 부르며 분노했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카라스키야 교장이 학부모들에게 충분한 사전 공지를 하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됐다.
카라스키야는 “다비드상과 같은 고전예술 작품을 보여줄 때는 사전에 학부모에게 알려주도록 돼 있다”며 “그러나 전달이 잘못돼 메일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았고, 이에 학부모들이 불만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학교 이사회는 지난 20일 카라스키야 교장에게 사임 또는 해고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결국 그는 해고됐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다윗 왕을 소재로 한 다비드상은 미켈란젤로가 1501년부터 1504년까지 제작한 것으로 서양 미술사에 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카라스키야는 “많은 학부모와 교직원들이 나를 해고한 학교 이사회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며 주변의 도움을 청하고 있다.
강력한 보수 정책을 펴고 있는 론 드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는 지난 23일 공립학교에서 성교육과 성 정체성을 가르치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을 확대했다. 법을 위반한 교사는 정직되거나 교단에서 퇴출될 수 있다.
김태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