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영국 아카데미 수상자 ‘유색’ 한 명도 없어 2보 전진 뒤 10보 후퇴

영국 아카데미 수상자 ‘유색’ 한 명도 없어 2보 전진 뒤 10보 후퇴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2-21 09:09
업데이트 2023-02-21 09: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9일(현지시간) 영국 아카데미상 시상식 수장자들이 한 데 모여 기념촬영에 응하고 있다. 오른쪽 유일한 흑인 여성이 서 있는데 앨리슨 하몬드는 공동 사회자였지, 수상자가 아니었다. 런던 AFP 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영국 아카데미상 시상식 수장자들이 한 데 모여 기념촬영에 응하고 있다. 오른쪽 유일한 흑인 여성이 서 있는데 앨리슨 하몬드는 공동 사회자였지, 수상자가 아니었다.
런던 AFP 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영국 아카데미(BAFTA)상 시상식 수상자들을 한 자리에 모았더니 보다시피 백인 일색이다. 공동 사회자 앨리슨 하몬드가 유일한 흑인이었다.

시상식 다음날 49명의 수상자가 모두 백인들이었다는 사실이 새삼 조명되면서 시상식을 주도한 영국 영화예술아카데미에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후보 지명 때까지는 그런대로 소수 인종이나 성적 소수자 등이 연기 부문 후보 명단의 40% 가까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성을 포용하는 모습이었다.

3년 전 연기 부문 후보자 20명이 모두 백인이었다는 점 때문에 엄청난 비난을 들었고 개혁하는 몸짓을 보였는데 모두 시늉에 불과했다는 점이 증명된 셈이다.

매체 다양성을 위한 레니 헨리 센터에서 자문 역할을 하는 마커스 라이더는 “아주 암담한” 결과라며 지난 10년 넘게 “근본적으로 바뀐 것이 없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10년 전인 2013년 레니 헨리는 TV 바프타스에 출연해 ‘밤의 백인 일색’(All white on the night)라고 개탄했던 일을 상기시켰다.

“나와 많은 다른 영화계 인사들이 자문해 BAFTA의 시상 과정에 120가지 변화가 이뤄졌다. 상대적으로 덜 대표됐던 1000명의 새 회원이 투표에 참가했지만 시상식 결과는 근본적으로 바뀐 것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라이더는 한 발 나아가 시상식 같은 것은 “체계적인 인종차별로 고통받는 영화계 전체에 비하면 빙산의 일각일 뿐”이므로 이것에 국한해 보지 말 것을 주문했다.

나딘 화이트는 트위터에 “어제 BAFTA 수상자들이 온통 백인들이었는데 맞느냐?”고 되물었다.

영화와 TV 비평가이며 BAFTA 단편영화 배심원 아샨티 옴카르는 시상식을 지켜보고 수상자 집단 촬영을 보면서 “아주 황망함”을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하몬드가 유일한 흑인이었는데 수상자가 아니었고 레드카펫에 컬러(유색)를 입히거나 음악을 연주하고 상을 수여하는 데 동원된 인물 가운데 한 명이었다. 진짜 체계적인 변화와 반대되는, 성형하듯 한 발 앞으로 내디딘 조치였음을 느끼게 했다”고 지적했다.

옴카르는 모든 수상자가 수상할 자격이 있다면서도 최근 몇년 진전된 것처럼 보인 뒤 사람들이 “낡은 투표 관행으로 돌아가고 있는 것인지” 의문스럽다고 덧붙였다.

작가 겸 평론가 레일라 라티프는 일간 가디언에 “많은 유색 인종에게 트로피 하나 건네지 않고 (시상식에) 부려먹고 참석하게 해 이득을 본다는 것은 소름끼치게 불편한 일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날 밤이 끝날 무렵 모든 수상자가 백인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BAFTA 팀의 머리가 손으로 내려가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후폭풍이 일까 긴장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고 적었다.

BAFTA는 수상자의 다양성이 결여돼 있다는 지적에 대한 코멘트 요청에 답하지 않겠다고 했다. 2020년 도입한 개혁 조치가 유효하다는 점만 확인했다. 2021년과 지난해 연기 부문 수상자의 절반은 백인이 아니었다. 해서 일부에서는 올해 시상식과 관련해 “2보 진전 뒤 10보 뒷걸음질했다”는 비아냥이 나온다.

2021년에 영국 영화산업의 인종 불평등 연구를 주도한 클라이브 은원카 박사는 BAFTA의 변화를 온전히 체감하려면 5~6년은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BAFTA의 다양성 작업이 어떤 정치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지 한결 더 정교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