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아그작”…입만 나오는 먹방, 1년에 120억원 벌었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2-05 17:30 경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온라인상에서 입만 나오는 먹방으로 구독자 1730만명을 보유한 한국인 유튜버가 화제다. ‘Jane ASMR 제인’ 채널 캡처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온라인상에서 입만 나오는 먹방으로 구독자 1730만명을 보유한 한국인 유튜버가 화제다. ‘Jane ASMR 제인’ 채널 캡처

“아그작, 아그작”

음식을 맛있게 먹는 모습만으로도 대리만족을 얻는 유저들 덕에 ‘먹방’(먹는 방송) 유튜버는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얼굴을 가린 채 붉은 립스틱을 바른 입만 보여주며 먹방을 하는 유튜버가 화제다.

5일 온라인상에서 입만 나오는 먹방으로 구독자 1730만명을 보유한 한국인 유튜버가 눈길을 끌었다.

현재 ‘Jane ASMR 제인’ 채널의 현재 구독자수는 1730만명에 달한다. 특히 외국인 구독자 수가 많다. 지난 2012년 처음으로 유튜브를 시작한 그의 채널 총 조회수는 69억 6375만뷰로, 대략 하루 수익은 3415만원이다.
온라인상에서 입만 나오는 먹방으로 구독자 1730만명을 보유한 한국인 유튜버가 화제다. ‘Jane ASMR 제인’ 채널 캡처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온라인상에서 입만 나오는 먹방으로 구독자 1730만명을 보유한 한국인 유튜버가 화제다. ‘Jane ASMR 제인’ 채널 캡처

지난 2012년 처음으로 유튜브를 시작한 그의 채널 총 조회수는 69억6300만뷰로, 대략 하루 수익은 3415만원이다. 녹스 인플루언서 캡처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지난 2012년 처음으로 유튜브를 시작한 그의 채널 총 조회수는 69억6300만뷰로, 대략 하루 수익은 3415만원이다. 녹스 인플루언서 캡처



얼굴은 비공개, ‘99년생 한국인 유튜버’로 알려져

유튜버의 수익을 알 수 있는 ‘녹스 인플루언서’에 따르면 그가 유튜브 채널에서 벌어들이는 하루 수익인 3415만원으로, 월 수익으로 환산하면 약 10억2470만원이다. 연 수익은 무려 124억 6700만원에 달한다.

최근 대중은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먹방에 지루함을 느끼고, 맛있게 먹는 콘텐츠에 다시 눈길을 돌리고 있다.

제인은 붉은 립스틱을 바른 채 사탕, 디저트류 등을 맛있게 먹는다. 2012년 처음 해당 채널을 개설해 10년이 지났지만 얼굴을 단 한 번도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온라인 상에선 “1999년생 한국인 여성이라는 점, 먹방을 하는 유튜브란 사실 밖에 아는 바가 없다”며 그의 정체에 대해 궁금해하는 댓글이 많았다.

또 “대단하다”, “그녀의 먹방은 최고”, “2012년 초창기부터 유튜버로 활동 중이네. 끈기가 대단”, “걸어다니는 기업이네” 등 그의 수입에 대해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온라인상에서 입만 나오는 먹방으로 구독자 1730만명을 보유한 한국인 유튜버가 화제다. ‘Jane ASMR 제인’ 채널 캡처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온라인상에서 입만 나오는 먹방으로 구독자 1730만명을 보유한 한국인 유튜버가 화제다. ‘Jane ASMR 제인’ 채널 캡처



“유튜버 될래요”…초등생 희망 직업 ‘톱3’ 진입

다만 이렇게 고수익을 내는 크리에이터는 손에 꼽는다. 그럼에도 초등학생 희망 직업에 ‘크리에이터’가 ‘톱3’에 들어간다.

최근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해 전국 초6·중3·고2 2만 2702명을 조사한 ‘2022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조사 결과 초등학생의 희망 직업은 운동선수(9.8%), 교사(6.5%), 크리에이터(6.1%) 순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콘텐츠 제작자인 크리에이터는 2020년, 2021년엔 4위였으나 올해 3위로 올라섰다. 유튜브 등 온라인 콘텐츠 산업이 활성화하며 선호도는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김채현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