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북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확산 차단에 총력

경북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확산 차단에 총력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2-10-06 11:25
업데이트 2022-10-06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벌채 모습.  크기가 1㎜ 내외의 실같은 선충인 소나무재선충은 나무조직내 수분 이동 통로를 막아 나무를 죽게 하는 해충이다. 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벌채 모습. 크기가 1㎜ 내외의 실같은 선충인 소나무재선충은 나무조직내 수분 이동 통로를 막아 나무를 죽게 하는 해충이다. 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확산되면서 최대 피해지역인 경북도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따뜻한 겨울과 건조한 봄철 날씨의 영향으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활발히 증식해 그동안 숙졌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소나무재선충병 청정지역이었던 청송지역에서 최근 재선충이 발생해 도내 21개 시·군으로 확대됐고, 해안가와 댐·하천변 등에서 빠르게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6일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받은 ‘소나무 재선충병 발생통계’ 자료에 따르면, 소나무 재선충이 발생한 나무 수는 2017년 68만 6422그루에서 2018년 49만 693그루, 2019년 40만 6362그루, 2020년 30만 7919그루로 꾸준히 감소해왔으나 지난해 37만 8079그루로 다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경우 지역별로는 경북이 11만 3668그루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남 9만 6267그루 등 영남지역에 피해가 집중돼 전국 37만 8079그루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이날 포항 숲마을 회의실에서 산림청, 한국임업진흥원, 시군 방제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유관기관 합동 실무협의회를 가졌다.

회의에서는 새로 개정된 방제지침에 따른 방제 정책 설명과 방제전략 수립 요령 등에 대한 교육, 시군별 방제사업에 따른 맞춤형 컨설팅을 벌였다.

또 시군 방제 공무원들에게 철저한 방제 지침 준수를 통한 업무 수행을 당부하고, 방제 작업 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토론도 했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으로부터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매개충이 유충상태로 월동하는 내년 3월 말까지 피해 고사목 제거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산주와 도민들에게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1905년 일본에서 최초로 발견됐으며, 우리나라에는 1988년 부산의 금정산에서 첫 발견(일본 원숭이 수입시 사용된 소나무 우리 추정)된 이후 전국적으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경북에서는 2001년 구미에서 처음 발생된 뒤 현재까지 울릉군과 영양군을 제외한 21개 시군으로 확산됐다.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안동 김상화 기자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