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어때>는 전국 숨겨진 맛집과 건강한 먹거리 생산을 위해 힘쓰는 곳을 소개합니다. 더불어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들을 응원합니다. 도움이 필요한 소상공인들은 이메일(seoultv@seoul.co.kr)로 신청해 주세요.
지난 8일 황해성 대표가 충북 청주시 사무실에 걸려 있는 액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월 청주시 개최 ‘식품안전의 날’ 기념행사에서 황 대표가 식품안전관리 유공자 표창을 수상한 뒤 기념 촬영한 모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8일 황해성 대표가 충북 청주시 사무실에 걸려 있는 액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월 청주시 개최 ‘식품안전의 날’ 기념행사에서 황 대표가 식품안전관리 유공자 표창을 수상한 뒤 기념 촬영한 모습.
“깨끗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추억의 맛을 선물하고 싶어요”
충북 청주시에서 쫀드기 생산 공장을 운영하는 황해성(43) 대표의 작은 소망이자 경영 철학입니다. 황 대표는 대학교 4학년이던 2005년 쫀드기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그의 나이 27살이었습니다. 그는 “우연히 쫀드기 만드는 공장에서 아르바이트했는데, 주변 환경이 깨끗하지 못했다”며 “어린 시절 즐겨 먹던 쫀드기가 불량식품으로 인식되는 게 안타까워서 ‘내가 한번 해볼까?’라는 생각에 출발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추억의 식품 쫀드기는 여전히 불량식품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그 오명을 벗기 위해 황 대표는 ‘특별히’ 위생에 신경 쓴다고 합니다. 중학교 2학년, 초등학교 5학년 두 자녀를 둔 그는 “내 아이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하고 깨끗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덕분에 황 대표는 지난 5월 13일 청주시가 개최한 ‘제21회 식품안전의 날’ 기념행사에서 식품안전관리 유공자 표창을 수상했습니다.
황 대표의 쫀드기는 해외 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영문 이름도 정했습니다. 바로 ‘코리안 마시멜로우(Korean marshmallow)’입니다. 그는 “미국, 독일 등 해외 바이어들과 이야기하던 중 ‘쫀드기를 어떻게 영어로 표현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받았다”며 “문득 캠핑장에서 마시멜로우 구워 먹은 생각이 나서 코리안 마시멜로우라고 답했다. 바이어들이 흔쾌히 동의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황 대표는 깨끗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기에 언제나 위생에 최선을 다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돈보다는 추억을 전하고 싶은 마음”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쫀드기가 인생의 전부라고 밝힌 황 대표의 인터뷰, 영상으로 확인해 보시죠.
글 문성호 기자 sungho@seoul.co.kr 영상 박홍규 문성호 김형우 기자 goph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