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 인력 안 뺏기려 연봉 올리는 작업에 착수”
MS도 하위 직급 프로그래머에 주식 보상 늘려
3억 7400만원 2위 페이스북은 부진에 채용 동결

▲ 왼쪽은 구글 앱. AP/ 오른쪽은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2021년도 미국 대기업의 직원 임금 중간값
1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집계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소속 425개 기업 중 구글 직원의 중간 보수는 29만 5884달러(약 3억 7800만원)로 가장 높았다. 2위는 페이스북으로 29만 2785달러(약 3억 7400만원)이었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이달 초 새로운 성과 평가 절차를 도입해 직원들 급여를 더 인상하겠다고 설명했다. 일명 ‘구글 평가·개발’(Google Reviews And Development·GRAD)이란 새 절차를 도입할 예정인데, 이를 통해 직원 대다수가 더 높은 급여를 받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심화에 대응하는 전면적인 임금 인상은 없다던 구글 경영진의 지난해 말 언급과 달라진 기조라고 CNBC가 전했다.
최근 2개월간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8%를 넘었고, 고용시장에서는 구인란이 벌어지면서 ‘대이직의 시대’를 맞고 있다. 구글의 임금 인상 작업은 고급 인재를 유치하고 붙잡아두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실제 적지 않은 구글 직원들이 사내 조사에서 연봉이 적다는 불평을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반면 실적 부진 및 주가 하락을 겪고 있는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플랫폼은 신규 채용을 동결키로 했고, 우버도 신규 채용을 축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무료 주식거래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로빈후드도 정규직 직원의 약 9%를 감원했다. 이외 기업의 잠재력으로 투자를 유치하던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의 경우 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 행보로 투자 유치 환경이 혹독해지면서 인력 고용 계획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