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매화로 그려 내는 우리의 삶…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매화로 그려 내는 우리의 삶…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1-11-13 09:00
업데이트 2021-11-13 0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4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서 공연

이미지 확대
서울예술단이 2015년 이후 6년 만에 재공연으로 선보이는 창작 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서울예술단 제공
서울예술단이 2015년 이후 6년 만에 재공연으로 선보이는 창작 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서울예술단 제공
이른 봄 혹은 늦은 겨울, 아주 잠깐 피고 지는 꽃 매화.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버리는 매화가 핀 시간은 어쩌면 우리의 삶과도 꼭 닮았다. 짧은 순간이지만 그 안에는 눈부신 찬란함이 있다.

서울예술단이 2015년 초연 이후 6년 만에 다시 선보이는 창작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이 12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막을 올렸다. 제목처럼 작품은 추위가 채 가시기 전에 잠시 폈다 지는 매화를 소재로 삶의 희로애락을 담은 다양한 순간을 보여준다. 어느 한 갤러리 벽면에 매화를주제로 한 그림들이 걸려있고 달항아리에 꽂힌 매화 줄기가 움직이면서 옴니버스 형식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미지 확대
서울예술단이 2015년 이후 6년 만에 재공연으로 선보이는 창작 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서울예술단 제공
서울예술단이 2015년 이후 6년 만에 재공연으로 선보이는 창작 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서울예술단 제공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늙은 여인의 이야기, 중국 설화 ‘나부춘몽’, 고려설화 ‘매화와 휘파람새’, 매화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던 것으로 유명한 퇴계 이황, 옛 선비들이 매화의 향기를 찾아 눈길을 나선 탐매행 등 다채로운 이야기를 그림처럼 펼친다. 과거 선인들이 사랑했던 소재로 시와 글, 그림에서 매화는 순수와 결백의 의미를 주로 담았지만 극에서는 여러 이야기를 통해 삶의 찬란한 순간들을 그려 낸다. 지극히 슬프거나 또 기쁘거나, 고통스럽거나 감동스러운 우리의 모든 감정들이 차례차례 지나간다.
이미지 확대
서울예술단이 2015년 이후 6년 만에 재공연으로 선보이는 창작 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서울예술단 제공
서울예술단이 2015년 이후 6년 만에 재공연으로 선보이는 창작 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서울예술단 제공
총 10개의 장으로 구성된 공연의 묘미는 이야기에 따라 그림을 넘기듯 저마다 특색이 가득한 무대를 보는 것이다. 갤러리에서 출발해 골목길, 매화나무 밭, 눈 덮인산, 숲속 등 시시각각 변하는 공간에 영상과 조명 등으로 각 장면의 느낌을 살린 한 편의 전시 같은 무대가 다채롭다. 때로는 가볍게 또는 무겁게, 경쾌한 리듬과 랩까지 나왔다 또 이내 묵직해지는 선율과 이에 맞춰 움직이는 서울예술단 무용단원들의 몸짓이 모든 장면을 더욱 풍성하게 꾸민다. 달항아리, 우산, 매화나무 등을 활용한 단아하고도 발랄한 움직임은 춤이 그리고자 하는 감정의 폭을 더욱 넓힌다.
이미지 확대
서울예술단이 2015년 이후 6년 만에 재공연으로 선보이는 창작 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서울예술단 제공
서울예술단이 2015년 이후 6년 만에 재공연으로 선보이는 창작 가무극 ‘이른 봄 늦은 겨울’.
서울예술단 제공
작품은 ‘1945’, ‘화전가‘를 쓴 배삼식 작가가 눈 내리는 어느 날 혼자 산길을 걷다 마주한 매화꽃 하나가 우리의 삶과 닮았다고 생각한 데서 출발했다. 배 작가는 11일 전막 시연 이후 기자들과 만나 “2015년 처음 이 작품을 의뢰받았을 때 글을 덜 써야겠다 생각했다”면서 “말이나 주장이 강하면 춤이나 음악이 그 말들을 설명하고 따라가다가 제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름다운 배우들과 소리, 연출, 안무가들의 감각과 상상력이 가득 들어올 수 있도록 가능하면 빈 자리가 많고 느슨하게 쓰고자 했고 신기하게 (모든 분들이) 그 빈 자리를 꽉꽉 채워줬다”고 덧붙였다. 작품의 연출을 맡은 임도완 연출가도 “무대에서 펼쳐지는 매화에 얽힌 이야기가 대사든 움직임이든 그동안 관객들이 살아온 삶과 만나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는 설명을 덧댔다.

무대에는 서울예술단 주역인 고미경, 박소연, 정유희, 김백현, 오현정, 최인형, 김성연, 하은서, 박혜정 등 19명 단원들이 오른다. 공연은 오는 24일까지 이어진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