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고중량 바벨운동하면 안되나요?”, 파워리프터 에스더

“여성은 고중량 바벨운동하면 안되나요?”, 파워리프터 에스더

박홍규 기자
입력 2021-07-12 10:42
업데이트 2021-07-12 1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워리프팅 선수이자 코치인 에스더(24)씨가 파워리프팅 종목 중 하나인 데드리프트를 훈련하고 있는 모습
파워리프팅 선수이자 코치인 에스더(24)씨가 파워리프팅 종목 중 하나인 데드리프트를 훈련하고 있는 모습
“바벨 운동을 여자가 하지 말아야한다는 편견부터가 잘못된 거 같아요. 근력이라는 건 여자, 남자 상관없이 인간이 가지고 있으면 너무나도 좋은 거거든요. 근육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몸의 라인이 살고 칼로리 소모도 훨씬 더 늘어나죠. 그런 부분들을 모르고 그냥 유산소운동, ‘여자운동’만 하게 되는 거 같아요.”

고중량운동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고 중량운동 전도사로 나선 에스더(24)씨. 그녀는 스쿼트,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1회 총 무게 합을 겨루는 파워리프팅 52kg체급 선수이자 여성전문코치다. ‘여자운동’과 ‘남자운동’을 구분 짓는 건 잘못됐다고 말하는 그는 “우리나라 여성분들은 운동을 시작하는 이유가 단지 다이어트를 위한 도구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리프팅을 통해 중량이 주는 성취감을 만끽하고 운동이 주는 순수한 즐거움을 느끼길 바라는 마음으로 많은 여성분들에게 파워리프팅을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한 트레이닝 센터에서 그녀를 만나 ‘그가 파워리프팅과 사랑에 빠진 이유’에 대해서 들어봤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일답.

(Q) 파워리프팅이란
스쿼트,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1회 무게의 합을 겨루는 스포츠로 서양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인기 스포츠였다. 국내에서 붐을 일으킨 지는 3년도 채 안 된다. 한국 여성분들이 운동을 시작하는 이유가 단지 다이어트를 위한 도구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는데 리프팅을 시작하게 되면 중량이 주는 성취감과 운동의 순수한 즐거움에 빠질 수 있고 원하는 몸을 만드는 데 있어 더 빨리 달성할 수 있게 된다.

(Q) 운동과는 거리가 멀었던 과거
체육시간 때 뭐를 하든 항상 꼴찌였을 정도로 운동이랑 거리가 먼 사람이었다. 원하는 몸매는 확실했지만 이상과 현실의 갭은 너무도 컸다. 정말 안 해본 다이어트가 없었다. 시행착오가 다른 여성분들보다 훨씬 많았던 거 같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친구로부터 가끔 메시지가 날라 온다. ‘너, 정말 대단하다’, ‘어떻게 그런 몸을 가질 수 있게 됐냐’며. 저도 10년 전의 제 사진을 보면 너무 놀랍다. 지금 하고 있는 고중량 운동의 효과가 놀라울 뿐이다.
원하는 몸매를 만들기 위해 안해본 다이어트가 없었다는 에스더씨의 체중감량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사진제공=에스더)
원하는 몸매를 만들기 위해 안해본 다이어트가 없었다는 에스더씨의 체중감량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사진제공=에스더)
(Q) 파워리프팅을 시작하게 된 계기
대학 시절 때, 인스타그램 외국 여성분들의 사진을 보며 ‘스쿼트, 데드리프트를 하면 엉덩이가 예뻐진다’는 말을 듣고 그때부터 엉덩이를 키워야겠다고 마음을 먹게 됐다. 제대로 된 지식 없이 무리한 자세로 고중량 무게를 들어 올리다 허리를 크게 다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로도 이 운동의 매력에 빠져 그만둘 수 없었고 결국 체육관을 찾아 기본기부터 차근차근 제대로 배우기 시작했다.
사진제공=에스더
사진제공=에스더
(Q) 본인의 파워리프팅 대회 기록
대회 최고기록으로는 스쿼트 115kg, 벤치프레스 60kg, 데드리프트 142.5kg다. 2021년 IPF 코리아 그랑프리 52kg급 1위와 전 종목 신기록을 달성했다. 2019년 U53 홍콩 파워리프팅 챔피언십에선 여성 전 체급 1위를 달성했다. 지금은 코칭을 병행하고 있어 주 4회 2~3시간씩 훈련을 하고 있다.

(Q) 가장 인상 깊었던 대회
2018년, 파워리프팅을 시작한 지 4개월 만에 홍콩으로 대회를 나갔다. 하지만 체중을 못 맞춰서 대회시작 30분 전까지 스팀룸에 있었다. 침까지 뱉어가며 체중을 맞추려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대회는 그렇게 망쳐버렸지만 대회를 위해 준비했던 모든 과정들을 떠올리면 내 스스로 기특하고 대단하다고 생각해 그 대회가 가장 인상에 남는다. 파워리프팅 대회에 참가한 다른 나라 여성분들을 보면 우리의 생각과 많이 다르다는 걸 느꼈다. ‘그냥 바벨만 들 수 있으면 참가할 수 있다’라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대회 건, ‘나가면 정말 잘해야 한다’는 점이 우리와 크게 달라 안타까웠다.
2019년 홍콩 파워리프팅 대회에 참가했을 당시의 에스더씨 모습
2019년 홍콩 파워리프팅 대회에 참가했을 당시의 에스더씨 모습
(Q) 전문 코치의 길로 들어서게 된 계기
코로나가 터진 2020년 1월에 홍콩에서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한국에 잠시 쉬러 들어왔다. 늘 꿈꾸던 ‘운동하는 백수’의 삶을 3개월 정도 만끽했다. 그 기간 동안 파워리프팅에 몰두했다. 당시 다니던 체육관에 여성분이 두 명 밖에 없었다. 훈련을 하면서 ‘왜 이 좋은 운동을 한국 여성분들은 잘 모를까?’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했다. 단지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이 아닌 훈련을 위한, 나를 위한 운동을 시작한 후 몸에 변화가 오기 시작했다. (고)중량 운동을 통해 내 몸이 슬림하고 탄탄한 몸으로 변해갔고 이 스포츠를 많은 여성분들에게 알려야겠다고 다짐했다.
(Q) 오해 중 하나, ‘혹시 장미란 선수처럼 되는 게 아닌지...’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조금씩 화가 난다. 전성기의 장미란 선수처럼 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쏟아부어야 하고,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 되는지를 모른 무지한 질문이다. 무거운 바벨을 들기 위해 그에 감당하는 체중도 어느 정도 유지해야 되고, 강한 근력을 키우기 위해 수많은 시간을 갈아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파워리프팅을 한다고 모든 사람이 장미란 선수 몸처럼 된다면 모든 국민이 다 금, 은, 동메달을 땄을 거다. ‘통짜 몸이 된다’는 편견도 있다. 제가 원래 그 통짜 몸이었다. 하지만 중량운동을 하고 나서 등은 넓어지고 엉덩이는 커져 상대적으로 허리가 얇아지는 효과를 보았다. 고중량 운동을 한다고 해서 절대로 허리가 두꺼워지지 않는다.
파워리프팅 종목 중 하나인 벤치프레스 훈련을 하고 있는 에스더씨(사진제공=에스더)
파워리프팅 종목 중 하나인 벤치프레스 훈련을 하고 있는 에스더씨(사진제공=에스더)
(Q) 파워리프팅을 시작하려는 여성분들에게
스포츠 축구, 농구, 웨이트트레이닝, 러닝보다 부상위험도가 훨씬 낮다. 모든 운동이 그렇듯이 잘못하게 되면 위험하다. 하지만 저는 약한 거보다 위험한 게 없는 거 같다고 생각한다. 그걸 극복하고 강해지면 그 위험도가 점점 낮아진다는 뜻이다. 파워리프팅을 배우고 싶으면 전문가를 찾아 내 몸에 맞는 자세, 내 근력, 내 역량에 맞는 레벨에 맞춰 배워야 한다. 그리고 너무 조급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파워리프팅이든 뭐든 시간이 걸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루아침에 성과를 보려고 하지 말고 제대로 배우면서 차근차근 자신의 몸을 만들어 가면 좋을 거 같다.

(Q) 앞으로의 목표
한국에서 파워리프팅으로 세계대회에 출전하신 선수가 아직까지 없다. 열심히 훈련해서 아시아대회부터 나가고 그 이후에 세계대회에 도전해보고 싶다. 사실 선수로서의 욕심보다는 코치로서의 욕심이 더 많다. 또한 파워리프팅의 ‘판’을 넓히고 싶기도 하다. 파워리프팅은 마니아들만 하는 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미국에서는 남녀노소 따질 거 없이 초등학교 때부터 하는 운동이다. 한국에서 파워리프팅이 생활체육처럼 활성화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글 박홍규 기자 gophk@seoul.co.kr
영상 박홍규 문성호 김형우 기자 sung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