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한글 금속활자 출토, ‘사대문 내부’ 보존 계기 되길

[사설] 한글 금속활자 출토, ‘사대문 내부’ 보존 계기 되길

입력 2021-06-30 21:58
업데이트 2021-07-01 0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인사동의 ‘공평구역 제15·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에서 조선 전기의 한글 금속활자와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를 비롯한 금속 유물이 한꺼번에 출토됐다. 문화 국가이자 과학 국가로 조선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뜻깊은 일이다. 한편으로 화려한 유물이 각광받는 동안 지하에 남은 유적 자체의 보존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현실은 안타깝다.

발굴조사가 이뤄진 종로2가 사거리 북서쪽에는 의금부와 전의감, 순화궁과 죽동궁이 있었다. 남쪽의 오늘날 종로는 상업시설인 시전행랑이 줄지어 있던 운종가다. 조사 지역에선 조선 전기부터 근대에 이르는 6개의 문화층이 확인됐다고 한다. 오랜 세월에 걸쳐 끊임없이 퇴적이 이루어졌고 발굴조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 삶의 흔적도 각 문화층에서 드러났다.

서울 사대문 내부인 광화문·종로 일대는 공평지구처럼 ‘도시환경정비’라는 이름으로 과거의 흔적을 지우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번에 조사된 지하 유적은 중요한 유물이 출토됨에 따라 옹색하게나마 흔적을 남기는 ‘이전복원’이 결정됐다고 한다. 신축 상업시설이 500년 수도의 켜켜이 쌓인 역사의 흔적보다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지금의 분위기는 바뀌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런 나라가 선진국이고, 문화 국가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사대문 내부를 전면 보존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고, 그럴 이유도 없다. 그럴수록 정치·행정·상업·생활의 중심 공간만큼은 최소한이라도 보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치 공간은 경복궁을 비롯한 궁궐의 존재로 크게 모자람이 없고, 생활 공간도 근대에 형성된 것이나마 북촌이 대표할 수 있다. 반면 종로 시전행랑 터와 이어진 공평지구의 상업 공간은 일부라도 원형을 보존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불가능해 보이던 육조거리 관청가의 보존도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에 따른 발굴조사와 이조 및 호조 터의 일부였을 미국대사관의 이전 계획에 따라 여건이 달라진 것은 다행스럽다. 문화와 관광이 대표할 보존의 경제적 가치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높아질 것이다. 그런 나라가 문화 선진국이다.

2021-07-01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