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 사회적경제기업 최대 5억원까지 보증

신용보증기금, 사회적경제기업 최대 5억원까지 보증

윤연정 기자
입력 2021-03-29 20:24
수정 2021-03-30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대희(왼쪽 두 번째)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 사회적경제기업인 비알인포텍을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 신용보증기금 제공
윤대희(왼쪽 두 번째)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이 사회적경제기업인 비알인포텍을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
신용보증기금 제공
“10년 내 장애인 1000명 고용 기업으로 키울 겁니다.”

지난해 신용보증기금에서 지원받아 코로나19 위기에도 매출액을 20% 이상 올린 노환걸 아로마빌커피 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신보는 아로마빌커피, 비알인포텍 같은 장애인이나 고령층 등을 고용하는 사회적경제기업을 지원해 왔다.

신보는 올해도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사회적경제기업에 특화된 평가 시스템으로 금융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먼저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보증 지원을 1700억원 이상으로 할 계획이다. 신보는 2018년부터 사회적경제팀을 신설해 내년까지 5년간 총 5000억원의 신용보증도 지원하기로 했다. 2017년 158억원에 불과하던 사회적경제기업 보증 지원을 2018년 1077억원, 2019년 1609억원, 지난해 1655억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늘려 왔다.

하반기부터는 우수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보증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최대 5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금융 우대 혜택을 더욱 적극적으로 확대한다.

신보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사회적경제기업 평가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기관을 올해 50곳으로 확산한다. 해당 평가 시스템은 기존 재무평가 중심의 평가 모형과 달리 사회적 가치 실현과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해 사회적경제기업에 특화됐다. 신보는 자체 평가 시스템은 있으나 사회적 금융 지원 경험이 부족한 은행, 정책금융기관과 자체 평가 시스템이 없는 사회적 금융 전문기관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에도 웹 기반의 오픈 플랫폼 운영을 통해 평가 시스템을 유관기관에 무상으로 제공했다.

신보 관계자는 “최근 공공기관에서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어 사회적경제의 역할이 중요해졌다”며 “신보는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이 우리 경제를 이끌어 갈 새로운 주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2021-03-3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