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30% 수수료에… 토종 ‘원스토어’ 급부상

구글 30% 수수료에… 토종 ‘원스토어’ 급부상

한재희 기자
입력 2020-10-05 20:54
수정 2020-10-06 06: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앱장터 통행세 강행 이후 입점 문의 쇄도
“이번 기회 점유율 20%” 내년 IPO 청신호

미국 캘리포니아 구글 사옥 전경. 캘리포니아 AP 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 구글 사옥 전경. 캘리포니아 AP 연합뉴스
구글이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물리는 자사의 인앱결제 방식을 강행하면서 토종 앱장터인 ‘원스토어’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원스토어에는 입점을 위한 국내 개발사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스토어 관계자는 “구글이 수수료 30% 정책을 발표한 직후 크고 작은 정보기술(IT) 업체들로부터 전화·메일 연락이 급증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구글이 앞으로 구글플레이의 애플리케이션(앱) 내부에서 결제할 때 각 사의 자체 시스템이 아닌 반드시 구글의 방식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리자 벌써부터 업계가 들썩이고 있는 것이다.

원스토어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의 앱장터와 네이버 앱스토어를 통합해 2016년 출범했다. 구글이나 애플의 앱장터 수수료는 매출의 30%인 반면 원스토어는 5~20%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특징을 지녔지만 경쟁사에 밀려 국내 점유율은 11.2%에 그쳤다.

더군다나 원스토어는 최근 주관사 선정을 마치며 내년에는 기업공개(IPO)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당초 업계에서는 원스토어의 기업가치를 1조원가량으로 봤는데 만약 이번 기회에 점유율을 20%대로 끌어올린다면 몸값이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여태까지는 원스토어에도 동시에 입점하면 구글로부터 알게 모르게 보복을 받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개발사들에 퍼져 있었다”면서 “원스토어가 이번 반사이익을 얼마나 가져가느냐가 앞으로 시장판도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0-10-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