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변기 뚜껑 안 닫고 물 내리면 에어로졸 92㎝까지, 코로나 감염 위험 ↑”

“변기 뚜껑 안 닫고 물 내리면 에어로졸 92㎝까지, 코로나 감염 위험 ↑”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6-17 10:40
업데이트 2020-06-17 1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일을 막으려면 용변을 본 뒤 반드시 변기 뚜겅을 닫고 물을 내려야 할 것 같다. 얼마 전에도 나온 얘기이고, 아직 이 경로로 코로나19가 감염된 사례가 확증되지 않았지만 코로나19 환자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가정이나 병원, 공공장소의 화장실에서는 가급적 변기 뚜껑을 닫은 채 물을 내리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 같다.

중국 양저우 대학 연구진은 변기 물을 내릴 때 에어로졸이 많이, 넓게 그리고 다른 이가 흡입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형성된다는 연구 결과를 16일(현지시간) 미국 물리학협회(AIP)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유체물리학’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대소변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남아 있는 변기의 물을 내릴 때 사람을 감염시킬 정도의 에어로졸이 형성되는지 조사하기 위해 변기 물을 내릴 때 생기는 물과 공기의 흐름을 분석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는 유체의 점성에 의해 나타나는 압력과 마찰력을 고려한 유체 운동 방정식인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을 활용했다.
유체물리학 제공
유체물리학 제공
그 결과 변기 물을 내릴 때 에어로졸이 거의 92㎝까지 튀어 오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을 이끈 왕지샹 연구원은 “변기의 물이 한쪽에서 쏟아지면서 소용돌이를 만들어 위로 솟게 만들어 에어로졸을 만들게 되는데 그 높이가 약 92㎝”라며 “에어로졸은 그 크기가 너무 작아 공기 중에 약 1분 동안 떠 있었다”며 “변기 속에 들어간 입자의 60%가 변기의 자 위로 올라왔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가족이 한꺼번에 화장실을 들락거리거나 밀집도가 높은 공중화장실의 경우 에어로졸 형성이 더 잦아지고 빨라질 것”이라며 “이런 에어로졸 형성을 막는 간단한 방법은 뚜껑을 닫는 것”이라고 권고했다.

국내 방역당국은 코로나19가 배설물을 통해 전파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지난 4월 질병관리본부가 국내 코로나19 환자 74명에서 얻은 혈청과 분변 등 699건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코로나19 유전자가 24건 검출됐으며 배양검사를 하였으나 분리된 바이러스는 없었다고 밝혔다. 질본은 “바이러스가 배양되지 않았다는 것은 해당 경로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염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혈액이나 분변에서 검출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는 이미 사멸해 감염력을 잃은 유전자 조각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유체 물리학 캡처
유체 물리학 캡처
하지만 중국에서는 감염병 확산 초기부터 지금까지 SARS-CoV-2가 입에서 항문에 이르는 사람의 소화기관에서 살아남는다는 연구 결과를 계속해 내놓고 있다. 코로나19 환자의 대변을 검사한 결과, 약 80%의 대변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다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공식적으로 코로나19가 대소변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 BBC에 따르면 브리스틀 대학 부설 에어로졸 연구센터의 브라이언 브즈덱 박사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이런 식으로 확산된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예방하고 조심하는 일은 이치에 맞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가능하면 언제라도 변기 뚜껑을 닫은 채로 물을 내리고, 의자는 어떤 다른 사람 손길이 닿는 면도 깨끗이 하고, 사용한 뒤 손을 닦는 일을 권하고 있다. 이런 일이 얼마나 SARS-CoV-2의 확산을 막아주는지 보여줄 수 없지만 많은 다른 바이러스도 얼굴, 입 등을 통해 전염된다는 것이 입증됐다. 해서 어쨌든 이런 일들은 좋은 위생습관”이라고 말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