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대성동 가야고분군서 상태 완벽한 귀족무덤 발굴

김해 대성동 가야고분군서 상태 완벽한 귀족무덤 발굴

강원식 기자
입력 2020-06-03 11:05
업데이트 2020-06-03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무판 덮은 108호분…도굴·훼손 흔적 없어
창·칼·화살촉… 주인은 장군 또는 무사 추정


금관가야 최고 지배계층 묘역인 사적 제341호 경남 김해시 대성동고분군에서 도굴·훼손 흔적이 거의 없는 보존상태가 완벽한 귀족 무덤이 발굴됐다.
이미지 확대
김해 대성동 108호 목곽묘 전경
김해 대성동 108호 목곽묘 전경
김해시와 대성동고분박물관은 3일 박물관 북동쪽 평지 3700㎡ 고분군에서 70여기 무덤이 확인됐고 무덤에서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고 밝혔다.

대성동고분박물관은 문화재청 허가와 발굴비를 지원받아 지난해 12월 9일 부터 이 일대 고분군에 대한 학술발굴조사를 하고 있다. 이달 발굴을 마무리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나무관을 넣어 흙은 덮은 108호 목관(木棺) 묘를 비롯해 나무판으로 공간을 만든 목곽(木槨) 묘, 항아리 형태 토기와 시신을 함께 매장한 옹관(甕棺)묘 등 70여기 무덤이 확인됐다.

또 무덤안에서 철기, 청동기, 토기, 칠기, 옥, 유리구슬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이미지 확대
108호 목곽묘에서 출토된 구슬목걸이 등 유물
108호 목곽묘에서 출토된 구슬목걸이 등 유물
박물관에 따르면 특히 이번에 발굴된 108호 목곽묘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보존상태가 완벽에 가까워 가야사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물관측은 “가야 무덤 90%가 일제 강점기부터 도굴된 상황을 고려할 때 108호 묘는 유구 어깨선 일부만 훼손되고 내부는 온전한 상태여서 기적에 가까운 사례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108호 무덤 규모는 길이 494㎝, 너비 346㎝, 깊이 60㎝ 정도로 비슷한 시기 목관묘인 대성동 91호와 비교하면 작은 편으로 중형이다.

박물관 측은 무덤 축조 시기는 출토된 토기와 철기 등 분석을 통해 가야 중심 시기인 4세기 초로 추정했다.

금관가야 지배계층 집단묘역인 대성동고분군 내 무덤 입지와 규모 등으로 볼 때 108호분은 귀족이나 장군 묘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무덤에서 당시 실물화폐로 사용된 대형덩이쇠(鐵鋌 10×40㎝) 40매와 동근 고리 큰 칼(環頭大刀), 화살촉 등 130여점 철기를 비롯해 토기 17점, 청동 그릇 1점, 통형동기(筒形銅器) 1점, 청동화살촉 1점, 방추자형 석제품, 대롱옥장식 목걸이와 굽은 옥장식 목걸이 각 1점 등 200여점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이미지 확대
108호 목곽묘에서 출토된 통형동기와 화살촉 등 청동유물
108호 목곽묘에서 출토된 통형동기와 화살촉 등 청동유물
박물관측은 108호 무덤은 대성동고분군 내 비슷한 시기 목곽묘 가운데 크지 않은 중소형 목곽묘임에도 북방대륙계 유물인 청동 그릇과 왜계 유물인 통형동기, 청동 화살촉 등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금관가야 국제적 위상과 교역 활동이 지금까지 연구에서 확인된 것보다 훨씬 활발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박물관 측은 큰 칼과 창 등 많은 무기와 옥으로 된 목걸이가 출토된 것으로 미뤄 무덤 주인은 장군 또는 귀족무사인 여성으로 추정했다.

부부를 나란히 한 무덤에 배치했거나 순장자를 나란히 배치한 사례로, 가야 목곽묘 중에서는 최초로 확인된 사례여서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108호 목곽묘 인골 출도 모식도
108호 목곽묘 인골 출도 모식도
108호 묘는 가야 무덤에서는 최초로 목곽에 옻칠을 한 흔적과 출토유물 가운데 칠기 목제품 부장물도 다량 확인됐다.

출토된 칠기는 나무에 조각을 새기고 조개가루(貝粉)나 뼛가루(骨粉) 등으로 메운 상감(象嵌)을 한 뒤 붉은색 수은주와 옻칠로 마감한 상자, 망태기 등이다.

박물관측은 목심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수량과 형태, 구조 등을 알 수는 없지만 가야에서 자체 제작한 유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가야 무덤 가운데 문양이 새겨진 칠기 흔적이 다량으로 발굴되기는 처음이어서 가야사 연구는 물론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시와 박물관은 이날 오전 11시 발굴 현장에서 발굴성과에 대한 학술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오후 3시 발굴 현장을 일반에 공개한다.

김해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