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채소값만 오른 마이너스 물가… 2분기 성장률 -2%대 추산

고기·채소값만 오른 마이너스 물가… 2분기 성장률 -2%대 추산

하종훈 기자
하종훈, 홍인기 기자
입력 2020-06-02 21:30
업데이트 2020-06-03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소비자 물가·1분기 성장률

이미지 확대
8개월 만에 마이너스 물가
8개월 만에 마이너스 물가 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채소 코너에서 장을 보고 있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년 전보다 0.3% 하락해 8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뉴스1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전보다 0.3% 하락해 8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코로나19의 충격으로 농축수산물 가격만 크게 올랐고, 서비스물가 상승률은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올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1.3%로 집계됐다. 2분기엔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돼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하락)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2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04.71로 지난해 5월보다 0.3% 감소했다. 지난해 9월(-0.4%) 사상 최초로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8개월 만에 두 번째 마이너스다.

물가 하락은 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류 영향이 가장 컸다. 석유류는 18.7% 떨어졌고, 석유류가 포함된 공업제품도 2.0% 하락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서비스 부문 물가 상승세도 0.1%로 둔화됐다. 1999년 12월(0.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통상 2% 상승하던 외식이 0.6% 상승에 그쳤고, 해외 단체여행비는 7.7% 하락했다. 무상 교육에 따른 고교 납입금(-66.2%)과 학교 급식비(-63.0%) 등도 영향을 미쳤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0.1% 상승하는 데 그쳤다.

다만 농축수산물은 3.1% 오르며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 갔다. 채소류는 9.8% 올랐고, 축산물(7.2%)과 수산물(7.7%)도 7%대 상승했다. 특히 돼지고기는 12.2%, 소고기는 6.6% 올랐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코로나 영향으로 집밥 수요가 늘었고 특히 고기값 상승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안 심의관은 “이번 물가 하락은 마이너스 기간이 한 달밖에 되지 않아 디플레이션이라고 판단하기엔 부적절하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마이너스 성장과 물가는 계속되고 있다. 1분기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1.3%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코로나19가 수출에 미친 악영향이 4월부터 본격화돼 2분기 성장률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2분기 성장률은 -2%대 초중반이 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국민경제 전반의 물가 수준을 뜻하는 ‘GDP 디플레이터’는 1년 전보다 0.6% 하락했다. 이 수치는 지난해 1분기(-0.6%)부터 5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 가고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GDP 디플레이터가 장기간 마이너스인 것은 사실상 디플레이션에 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2분기엔 GDP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큰 만큼 물가도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서울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06-03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