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표준어가 가져다준 것

[이경우의 언파만파] 표준어가 가져다준 것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4-26 22:20
업데이트 2020-04-27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우리에게 표준어는 무엇일까. 교양의 세계로 가는 다리일까. 바른말을 가리키는 표지일까. 반드시 지켜야 하는 또 하나의 규율 체계일까.

표준어는 근대화의 결과다. 근대 이전에는 표준어라는 개념이 없었고, 누가 어떤 형태의 말을 쓰더라도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서유럽 국가들은 언어에 대해 보편적인 교육을 시작했다. 그것이 국가의 힘을 키우는 방편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여기에 민족국가들은 표준어를 중시하고 권장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도 그들의 근대를 이루기 위해 표준어를 만들어 갔다. 중앙집권적 체제를 강력히 하고 국민을 통합하기 위한 것이었다.

우리는 일제강점기 민족의 역량을 모으고 키우기 위해 표준어를 만들기 시작했다. 광복 이후 표준어의 활발한 보급은 의사소통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공문서는 물론 교육, 출판, 언론에서 정보가 원활하게 흐르는 도구가 됐다. 대부분의 나라가 그렇듯 기준은 서울말이었다. 서울은 많은 사람들에게 욕망과 희망의 대상이었다. 표준어는 그곳으로 가는 길 같은 것이었다.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이라는 정의는 표준어 사용을 압박하는 수식어였다.

표준어는 지나치다 싶을 만큼 힘을 키워 갔다. 거대 기업이 골목상권을 침해하듯 방방곡곡으로 스며들었다. 지역사회나 개인적인 자리에서까지 써야 하는 말처럼 비쳤다. 공적인 자리에서나 권장되는 말인데 그렇게 됐다. 표준어가 아닌 말은 설 자리가 좁아질 수밖에 없었다. 지역 방언 등이 하는 기능은 쇠퇴해 갔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으나, 이것은 표준어를 알리는 쪽의 문제도 있었다.

표준어는 맞는 말, 비표준어는 틀린 말이라는 인식이 퍼졌다. 그렇게 여겨지도록 퍼뜨리기도 했다. ‘늘상’, ‘설레이다’, ‘지리하다’라고 하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틀린 말 취급을 했다. 이러는 사이 언어의 적절성을 말하지 않고 옳고 그름의 시각으로만 보게 하는 태도도 낳았다. 표준어를 쓰지 않는 곳을 향해선 말의 오염과 타락을 걱정했다. 이것은 다양성을 막는 결과로 이어졌다.

표준어도 변하는 게 마땅하다. 그렇지만 표준과 비표준의 경계가 너무 높고 선명하다. 마치 휴전선이라도 그어진 것처럼 말들이 자유롭게 오가지 못한다. 말을 만들어 가는 주체가 대중임에도 표준어를 정하는 주체는 여전히 국가다. 표준어를 통해 이루려던 목적은 거의 이룬 듯하다. 표준어 규정은 이미 효력을 다했다. 다양성의 시대다. 새로운 가치와 목표가 필요하다.

wlee@seoul.co.kr
2020-04-27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