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종로의 아침] “이 좋은 위기를 낭비하지 말라”/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이 좋은 위기를 낭비하지 말라”/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0-04-19 20:24
업데이트 2020-04-20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손원천 문화부 선임기자
다소 이른 감은 있으나 우리의 경우 코로나19가 진정세로 접어든 모양새다. 앞으로도 코로나19와의 싸움은 지루하게 이어지겠지만 그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바이러스와 숙주의 싸움은 지구에 생명체가 생긴 이후 늘 있어 왔던 과정이니 말이다.

중요한 건 코로나19 이후의 세상이다. “이전으로는 돌아갈 수 없다”는 한 방역 당국자의 말처럼 종전과는 사뭇 다른 양상들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비단 의료 부문뿐 아니라 사회 여러 갈래에서 표출될 것이다.

코로나19 이후의 변화상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전망도 잇달아 나오고 있다. 여러 분석 가운데 개인적으로 가장 눈에 띄었던 건 ‘사대주의의 해체’다. 대략의 내용은 이렇다.

그동안 우리의 정신세계 한쪽에는 ‘현대판 사대주의’라 할까, 서양을 우월하게 보려는 경향이 있었던 게 사실이다. 그런데 코로나19가 변곡점 노릇을 했다. 바이러스가 창궐하는 동안 미국과 유럽은 우리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글로벌 리더’ 미국이 맥을 못 췄고, ‘공공복지 선진국’ 유럽은 속수무책이라 할 만큼 애를 먹었다. 이는 체면에 먹칠한 수준을 넘어 공공의료 체계를 다시 설계해야 할 만큼 심각한 타격이 됐다.

의료 체계에서 발생한 문제이긴 해도 이를 의료 부문에 국한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모든 나라가 국력을 총동원해 바이러스와 싸운 결과이니 말이다. 이 과정에서 서양이 우리를 다시 봤고 우리 역시 그들을 대하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었다는 것이 ‘사대주의 해체’의 요지다. 이 같은 견해의 바닥에 깔린 정서는 사실 ‘전망’보다 ‘바람’에 가까워 보이지만 어쨌든 듣는 것만으로도 기분은 좋다.

사대주의의 해체를 달리 말하면 바로 지금이 우리가 헤게모니를 틀어쥘 수 있는 기회라는 것과 같다. 영국의 총리 윈스턴 처칠이 남긴 말도 있지 않은가. “좋은 위기를 절대 낭비하지 말라”(never waste a good crisis)고.

코로나19가 지난 뒤에는 한국인을 보는 세계인의 시각이 많이 달라져 있을 것이다. 동방의 작은 나라가 꽤 단단한 사회 시스템을 갖췄다는 인상을 세계인들에게 심어 줬고, 이는 그들로 하여금 고구마 줄기 캐듯 우리 사회의 다른 분야들까지 들춰 보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관광 분야도 그중 하나일 텐데, 그때도 택시 바가지, 불친절, 관광 인프라 부실 등 전근대적 패러다임의 이야기를 이어갈 수는 없지 않은가.

책상에 둘러앉아 거대 담론 운운하는 거 딱 질색이지만, 이런 담론들이 꼭 논의돼야 하는 때가 있다면 지금이 아닐까 싶다. 물론 당장은 내수 활성화가 발등의 불일 것이다. 한데 위기 상황에서 보다 중요한 건 분명하고도 큰 밑그림이다. 이번엔 정부가 앞장서 줬으면 좋겠다. 예산을 뭉텅 풀고, 가용 싱크탱크들을 모두 동원해 큰 그림을 그리고, 분명한 목표를 담은 구호 아래 관광업계가 뭉쳐 ‘직진’하는 선순환을 일궈 냈으면 좋겠다.

카지노, 출국세 등으로 조성하는 관광진흥개발기금이 올해 거의 반 토막이 날 지경이라는 이야기가 들린다. 그나마 관련 예산이 확보된 올해보다 내년이 더 힘들 수도 있다는 뜻이다.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곳은 관광업계다. 아시아개발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관광산업 매출은 올해 최대 3조 7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사태가 6개월 이상 지속된다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추정치이긴 해도 체감 경기는 이미 그보다 더하다.

정부에서도 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 역량을 결집하는 중이라고 들었다. 사실 이 정부 출범 때부터 관광산업은 찬밥이었지만, 이번엔 정책 우선순위를 앞쪽으로 당겼으면 좋겠다. 그렇지 않으면 관광산업에 관한 한 ‘이 좋은 위기’는 ‘이 또한 지나가리’로 끝나고 말 것이다.

angler@seoul.co.kr
2020-04-20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