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태균·김문호가 도전했던 ‘4할’ 올해는 나올까

김태균·김문호가 도전했던 ‘4할’ 올해는 나올까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0-04-06 16:37
업데이트 2020-04-06 17: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회적 거리두기 2주 연장 4월 개막 어려울듯
KBO 경기수 단축도 고려… 대기록 쏟아지나
백인천 4할·선동열 0점대 ERA 다시 볼 수도
기록 인정 문제 남아 누적기록에선 선수 손해
2010년대 4할 타율에 도전했던 김태균(왼쪽)과 김문호. 한화 이글스 제공
2010년대 4할 타율에 도전했던 김태균(왼쪽)과 김문호. 한화 이글스 제공
코로나19로 프로야구 개막이 기약 없이 연기되면서 불가피하게 일정이 축소될 가능성이 떠오르고 있다. 야구는 아무리 날고 기는 선수들도 한 시즌이 끝나고 나면 결국 평균으로 회귀하는 속성을 가졌지만 올해 코로나19로 경기수가 줄어들 경우 4할 타자, 0점대 평균자책점 등 꿈의 기록들이 쏟아져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가 지난 4일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을 2주 더 연장함에 따라 프로야구의 4월 개막은 사실상 어려우리란 관측이 나온다. 한국야구위원회(KBO)도 지난달 31일 긴급 실행위원회를 열고 7일로 예정됐던 구단간 연습경기를 오는 21일로 미룬 상태고, 팀별 144경기 체제가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해 최소 108경기의 시나리오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수가 단축되면 현대야구에서 보기 드문 대기록의 가능성도 커진다. 반대로 안타, 홈런, 도루 등은 예년에 비해 대폭 줄어들게 된다. 문제는 이 기록이 과거의 기록과 비교해 제대로 인정할 수 있느냐는 논란이 불거질 수 있고, 선수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지의 문제도 남는다.

프로야구 최고타율은 1982년 백인천 전 감독이 세운 0.412(250타수 103안타)다. 유일한 4할 타율로 남아있지만 당시는 80경기 체제여서 예외적인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이종범 전 코치는 1994년 104경기째까지 4할 타율을 유지하며 최종 0.393(499타수 196안타)으로 4할에 가장 근접한 기록을 남겼고, 김태균(한화)도 133경기 체제였던 2012년 팀의 89번째 경기까지 4할 타율을 유지하며 백 전 감독을 넘어섰다. 이외에도 2014년 이재원(75경기), 2018년 양의지(66경기), 2016년 김문호(57경기) 등이 4할에 도전했다.
이종범 전 코치의 현역시절. 서울신문 DB
이종범 전 코치의 현역시절. 서울신문 DB
최저 평균자책점은 선동열 전 감독이 1993년 기록한 0.78이다. 나머지 0점대 평균자책점도 1986년과 1987년 선 전 감독이 달성했지만 당시는 투수 분업 체제가 자리잡히지 않았고 타자들의 타격 기술이 뒤떨어졌던 특성이 있다. 그러나 경기수가 줄어들 경우 불펜 투수 운용의 폭이 넓어지면서 선발 투수들이 짧은 이닝 강하게 던져 평균자책점을 0점대로 낮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불펜투수와 홈런타자 등은 불리해진다. 불펜투수는 홀드나 세이브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고, 홈런이나 도루처럼 경기수에 비례하는 속성을 지닌 기록들은 감소하게 돼 연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KBO 관계자는 “단축이 되면 전례가 없는 상황이어서 기록적인 부분에 대해선 내부적으로 좀 더 깊이 연구를 해봐야 한다”라고 밝혔다.

민훈기 SPOTV 해설위원은 “야구가 장기적으로 평균에 수렴하는 스포츠인데 기간이 확 줄게 되면 특이한 기록이 나올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면서 “규정이닝 규정타석이라는 게 있는데 경기수가 줄어들 때 공식기록으로 할 수 있을지 문제가 있다“고 했다. 민 위원은 “단축 시즌의 기록을 다른 시즌과 똑같이 인정하고 적용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는 것 같다”면서 “별표를 붙인다든가 해서 특별한 상황에 나온 기록으로 표시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라는 대안을 제시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