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온라인 개학과 대입 연기, 준비 철저해야 혼란 막아

[사설] 온라인 개학과 대입 연기, 준비 철저해야 혼란 막아

입력 2020-03-31 17:30
업데이트 2020-04-01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이번에 인프라 확충하고 지역별 학교별 격차 최소화해야

코로나19 확산으로 세 차례 미뤘던 초·중·고교의 개학이 결국 ‘순차적 온라인 개학’으로 결정됐다. 오는 9일 중·고교 각각 3학년을 시작으로 16일에는 초등 고학년과 중·고 1~2학년이, 20일에는 초등 3학년생 이하가 온라인 개학을 한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개학은 재연기됐다. 수능은 2주일 연기해 12월 3일 시행하기로 했다. 전쟁 중에도 천막학교를 열었던 나라에서 감염병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학교 현장 및 개별 가정에 제대로 된 원격수업 준비가 돼 있느냐이다.

초·중·고 학교 현장에서 원격수업은 일부 지역별로 시범사업으로서만 극히 드물게 진행됐다. 법정 수업시수로 인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격수업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교양·심화 수업에만 해당됐다. 2018년 기준으로 원격수업을 진행한 학교는 전국 중학교 3214곳 중 18.9%인 610곳에 그쳤고 고등학교 역시 2358곳 중 696곳(29.5%)뿐이었다. 참여율은 극히 낮아 중학생의 0.26%, 고등학생의 0.35%만 원격수업을 경험했다. 교사와 학생 모두 낯선 수업 방식이다.

무엇보다 문제는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에 맞춰 각 학교나 가정에서 고성능 컴퓨터와 인터넷 장비, 비대면 강의를 위한 소프트웨어 등을 확보했느냐이다. 5년 넘은 구형 컴퓨터를 보유한 초·중·고의 비율이 30%이다. 접속자가 한꺼번에 몰릴 때 감당해낼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이참에 정부가 학교를 중심으로 온라인 교육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안도 모색하길 바란다.

가정별로는 대도시라고 해도 온라인 교육 환경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고 일부 온라인 교육 환경을 갖췄다고 해도 다자녀일 때는 ‘1인 1컴퓨터’와 같은 환경은 안 돼 실시간 온라인 학습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농촌이나 저소득 계층 자녀를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게다가 맞벌이 부모의 자녀를 위해 기업 등에서 재택근무를 연장하는 등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 줄 필요도 있다.

고3의 온라인 수업이 계속된다면, 대입 중 학생부종합전형은 난항을 겪게 된다. ‘물리적인 등교’ 시기는 코로나19 통제와 관련될 것이지만, 최악의 시나리오를 고려해 학교당국과 교육부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서울신문은 온라인 개학을 지지했으나, 이런 변화가 디지털 편차를 유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당국은 지역별·학교별 편차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하고, 무엇보다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2020-04-01 3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