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장본인과 주인공/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장본인과 주인공/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3-25 22:02
업데이트 2020-03-26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할머니가 경찰서로 걸어간다. 경비를 서던 의경에게 검은색 비닐봉지를 건네고는 자리를 떴다. 비닐봉지에는 보건용 마스크 40장과 현금 100만원, 대구시민들을 위해 써 달라는 내용의 손편지가 들어 있었다. 사연의 주인공은 울산에 사는 70대 기초생활수급자로 이 할머니는 노점상을 하며 모은 돈을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할머니를 시작으로 여러 미담의 주인공들이 소개되면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시민들의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간혹 이 같은 미담의 ‘주인공’을 ‘장본인’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장본인’이나 ‘주인공’은 ‘당사자’ 또는 ‘중심인물’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실제 쓰임은 정반대다.

사전에 장본인은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 ‘어떤 일을 빚어낸 바로 그 사람. 주로 바람직하지 못한 일을 한 데에 쓰인다’고 돼 있다. 반대로 ‘주인공’은 좋은 뜻으로 쓸 수 있는 낱말이다. 주인공의 사전적 뜻풀이는 ‘연극, 영화, 소설 따위에서 사건의 중심이 되는 인물’, ‘어떤 일에서 중심이 되거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즉 사건이나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인물을 뜻한다.

이와 같이 장본인은 나쁜 일을 일으킨 주동자나 주로 부정적인 일에 대해, 주인공은 좋은 일의 중심인물을 가리킬 때 쓴다. 따라서 훌륭한 일을 한 사람에게 장본인이란 표현은 삼가야 한다. 당사자에게 실례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oms30@seoul.co.kr
2020-03-26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